"무인항공기, 막을 수 있는 무기는 있지만…"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자료사진)


- 현재 우리 군이 사용하는 레이더로는 무인항공기 탐지가 곤란해
- 다른 나라는 무인항공기도 감지할 수 있는 차세대 레이더와 요격 무기 갖춰
- 우리도 대응 무기 만들 기술력은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릴 것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4년 4월 2일 (수) 오후 7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김대영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정관용> 얼마 전 파주에서, 또 엊그제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 북한이 제작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2000년대 초부터 이 무인항공기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 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대비책을 제대로 못 세운 것이죠. 한국국방안보포럼의 김대영 연구위원 연결합니다. 안녕하세요.

◆ 김대영> 안녕하십니까?

◇ 정관용> 이거 북한에서 만든 거라고 하는 결론, 그 근거가 뭡니까?

◆ 김대영> 일단 비행경로하고 그다음에 이번에 추락한 무인기의 외형, 그리고 그 무인기 내부에 탑재된 여러 가지 장비들 해서, 그 북한에 쓰는 그런 표기들이 발견돼서 북한 것으로 아무래도 최종적으로 확인이 돼 가고 있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 정관용> 이거는 그리고 정부 발표에 의하면 정찰, 정탐 목적의 초보적인 비행기다, 이렇게 했던데. 그러니까 사진을 찍어서 다시 북한 쪽으로 가져가려고 했던 거다, 이건가요?

◆ 김대영> 지금 국방부 쪽에서는 그렇게 발표를 하고 있는데요. 또 일각에서는 그런 촬영된 영상을 또 송신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라는 얘기도 들려지고 있거든요. 그래서 최종보고서가 나올 때까지는 좀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 정관용> 그런데 이 두 건 다 민간인 제보로 발견하지 않았습니까? 그것도 떨어진 다음에. 이게 우리 군의 레이더망에서는 못 잡아요?

◆ 김대영> 현재 우리 군이 사용하고 있는 레이더로는 탐지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부분이 많습니다. 또한 이런 무인기들은 금속보다는 그런 무인기를 가볍게 만들기 위해서 플라스틱이나 복합적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또 레이더에 잘 안 잡히고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러면 이건 정말 감지할 방법이 없는 겁니까? 만약에 폭탄 같은 거 싣고 와서 터트리면 어떻게 합니까?

◆ 김대영> 꼭 그렇지는 않고요. 무인기가 향후 전쟁에서 상당히 중요한 무기로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가지에서 이런 무인기를 감지하고 요격할 수 있는 그런 여러 가지 체계를 개발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서 차세대 레이더 같은 경우는 이런 작은 비행체도 잡을 수 있는 그런 성능을 가지고 있고요. 또 무인기에는 이런 엔진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엔진이 작동하면 열을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것은 적외선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이런 장비들도 개발되어 있고요. 또 요격하는 이런 조그마한 비행기를 요격할 수 있는 대공포라든가 이런 것들도 이미 나와 있습니다.

◇ 정관용> 우리나라에도 있어요?

◆ 김대영> 지금 우리나라에는 아직은 없고요. 이런 것들을 개발할 수 있는 그런 기술력은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자체 개발도 가능하다?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다만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고요. 지금 상황에서는 일단 외국에서 긴급하게 도입을 하고.

◇ 정관용> 외국 어느 나라에 이런 것들이 다 갖추어져 있습니까?

◆ 김대영> 유럽에도 있고요. 미국 쪽에 여러 방위산업체에 대해서 개발한 것이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고성능 레이더기, 그리고 열 감지 장치, 그리고 이런 소규모 것도 요격할 수 있는 대공포시스템이라고 했는데. 그런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2000년 초부터 무인항공기 이거 문제 있다.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이렇게 주장을 해 오셨다면서요.

◆ 김대영> 군 내부에서도 2000년대 초반부터 북한이 이런 무인기들을 개발하는 동향을 확인을 하고, 좀 준비를 해야 되지 않겠느냐 하는 이런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현실적으로 다가오지는 않았죠. 그래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아무래도 그런 대비책들이 긴급하게 세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 정관용> 그러면 그 동안에 십몇 년 동안 국방부나 우리 군 당국은 뒷짐 지고 있었던 겁니까?

◆ 김대영> 꼭 그런 건 아니고요. 지금 국내에서 개발 중인 이런 몇 가지 장비들에는 이런 무인기를 탐지할 수 있는 그런 기능들을 갖추고 있는데요. 아직까지는 야전에 배치되지는 않았고요. 현재 개발 중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국방부도 준비해 왔는데 이렇게까지 빨리 현실화될 거라고는 생각을 못한 것 같습니다.

◇ 정관용> 그럼 아까 설명해 주신 유럽이나 이런 데, 미국이나 이런 데는 고성능 레이더나 열감지기, 이런 건 빨리 사와야 되겠네요. 당장이라도.

◆ 김대영> 그렇죠. 사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레이더라도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있기 때문에. 일단은 앞서 말씀드렸지만, 청와대라든가 이런 국가 중요시설 그리고 중요 군부대에 우선적으로 배치를 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정관용> 이번에 파주에 떨어진 걸 분석을 해 봤더니 청와대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8초에 한 장씩 사진을 찍다가, 청와대 가까이 오면 1초에 한 장씩 사진 찍은 것으로 바뀌고 이랬다는 보도가 있지 않습니까?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그럼 그런 걸 다 북한에서 원격 조정을 한 거예요? 아니면 아예 시스템적으로 그렇게 하도록 설치를 하는 겁니까?

◆ 김대영> 사실 여러 가지 기능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원격으로, 말씀하셨다시피 원격으로 할 수도 있고요. 미리 사전에 좌표를 입력해서 프로그램으로 해서 적절한 지점에 와서는 더 많이 사진을 찍게 할 수도 있습니다.

◇ 정관용> 우리나라도 무인기를 가지고 있고, 군사용으로 사용하죠?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우리나라 기술 수준, 무인기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봐야 합니까?

◆ 김대영> 북한과 비교했을 때 한 20년 이상 앞서 있고요. 이런 초소형, 지금 이번에 이런 발견된 무인기 경우에는 대학교나 개인이 만들 정도로, 그만큼 높은 기술을 가지고 있고요. 군에서 사용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야간에도 대낮처럼 볼 수 있게끔 그런 정밀한 정찰장비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이번에 북한에서 떨어진 것들은 그냥 일반 학생들이 취미로 만들 수 있는 그런 정도의 수준이다?

◆ 김대영> 그러니까 일반인이 만약에 어느 정도 기술 수준이 된다면, 이런 수준의 무인기는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봅니다.

◇ 정관용> 그럼 얼마 비싸지도 않겠네요?

◆ 김대영> 가격은 좀 상당할 것 같은데요.

◇ 정관용> 상당이라는 게 어느 정도를 말하는 겁니까?

◆ 김대영> 그것까지는 제가... 한 1000만 원 이상은 되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000만 원 정도는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우리는 아무튼 20년 앞선 무인기 기술을 가지고 있다.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국가 기밀이겠습니다마는, 우리도 그걸 통해서 북쪽 정탐하고, 이런 걸 하겠죠?

◆ 김대영> 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말씀드리기가 그렇고요. 안보를 생각하자면 뭐 그러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이쪽 방향에서 제일 기술이 앞선 곳은 역시 미국입니까?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가 도입하기로 한 글로벌호크 같은 경우는 고고도 무인정찰기로써 적의 대공미사일 사정거리 밖에서 높은 고도에서 적진 깊숙이 있는 여러 가지 중요 시설들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 정관용> 이건 크기도 매우 크다면서요?

◆ 김대영> 그렇죠. 웬만한 여객기에 육박하는 그런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정관용> 향후 전쟁은 이 무인기들이 하게 될 것이다, 그런 얘기 나오던데. 맞는 예측입니까?

◆ 김대영> 네, 맞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지금 미국의 대테러전 같은 경우에는 predator라는 무인기가 있습니다. predator 무인기는 정찰도 할 수 있고, 또 미사일을 달아서 중요한 테러리스트들을 암살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로는 그런 무장형 정찰기를, 무인정찰기를 가지려고 노력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래요. 앞으로의 방향이 그렇다면 점점 더 이제 레이더망 같은 걸 피하기 위해서 소형화하고 첨단화하지 않겠습니까?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그런 것에 대비한 우리의 방공시스템. 빨리 구축을 해야 되겠군요.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그나마 다행인 것은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서 만들 수 있다.

◆ 김대영> 네, 그렇습니다. 우리가 그런 충분한 기술력은 가지고 있습니다.

◇ 정관용> 네. 지금까지 안 해 온 걸 좀 반성하고, 차제에 그 시스템을 갖추기를 기대하겠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김대영> 네, 고맙습니다.

◇ 정관용> 한국국방안보포럼의 김대영 연구위원 말씀 들었습니다.

[CBS 시사자키 홈페이지 바로 가기]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