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특수부대 임무, '인간 GPS'까지 확대

北·中 등 '관심 국가' 정보 필요성 증가 이유

9·11 테러 이후 '약방의 감초' 역할을 해온 미국 특수전부대가 최근에는 '인간 GPS' 임무까지 부여받았다고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이 보도했다.

타임은 특전부대의 최고사령부 격인 통합특수전사령부(USSOCOM)가 북한 등 "전략적으로 중요하지만, 해당 정보는 사실상 지리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관심 국가'(countries of interest)의 초기 자료"를 수집하는 임무를 부여받아 담당하고 있다고 최근 인터넷판에서 전했다.


관심 국가들은 북한을 포함해 요르단, 지부티, 미얀마, 온두라스, 이란, 모로코, 나이지리아, 트리니다드 토바고, 부르키나파소, 남수단, 중국(광둥성) 등 모두 12개국이다.

알카에다 같은 테러조직 와해나 주요 전술·전략 목표물관련 정보 수집과 타격 또는 게릴라전(비정규전) 등을 주임무로 하는 특전요원들이 구글 어스 같은 위치 정보 검색 업체의 전문 영역에 뛰어든 이유는 간단하다.

필요성은 계속 증가하는 일부 관심 국가들의 자료나 정보를 전문업체나 정부기관이 아직 수집하지 못해 "역동적이고 다양한 환경에 잘 대비하고 활동할 수 있는" 특전요원들이 이런 임무에 제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표 사례가 광둥(廣東)성이다. 중국 22개 성 중 가장 인구가 많고 부유한 데다 특히 대표 도시인 광저우(廣州)와 선전(深천<土+川>)은 전국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곳이다. 이런 실정인 데도 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

특전요원들의 주임무는 해당 국가나 지역의 지형은 물론이고 주민들과 이들의 활동상황까지 수록한 위성지도를 군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은 또 기존의 상업위성 위치정보서비스에는 없는 중요한 국가나 지역의 정확한 지형, 사회문화자료 등도 제공하기로 했다.

해당 국가의 민족구성, 언어, 교육, 정치, 종교, 경제 등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질 것이라는 게 USSOCOM 측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군사 시설을 포함한 중요 인프라에 대한 위치 자료, GSM(이동통신) 송신탑 위치, 공항, 광물/가스/자원 조사 업체, 대사관, 난민촌, 인터넷 카페 위치, 마약, 인신 및 무기 밀매 루트, 폭력성 과격조직(VEO) 동조자와 이에 대항하는 주재국 정부나 서방국 동조자 등도 수집 대상이다.

국방부는 특전요원들을 투입한 이런 임무를 "인간 지리"(human geography)라고 표현했다.

특전요원들을 이런 임무에 투입한 배경에는 잘못 작성된 지도에 따른 미군의 쓰라린 경험이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1983년 그레나다 침공 작전이었다. 당시 미군은 제대로 된 작전지도가 없어 여행자 지도를 복사해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유고 내전 당시인 1999년 미국 공군 B-2 스텔스 폭격기는 유고 연방 조달청 대신 인근 중국대사관을 잘못 폭격하는 바람에 세 명의 중국인이 사망했다. 모두 정확한 지도가 없었던 탓이다.

USSOCOM은 기존 거래업체인 지오아이 어낼리틱스(GeoEye Analytics Inc.)와 계약을 연장할 계획이지만, 계약료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이 회사는 최근 이란의 가짜 항공모함 위치를 파악해 미국 해군에 제공하고 말레이시아 실종 여객기의 위성사진을 구글 맵스에 제공한 '디지털글로브'(Digital Globe Inc.)의 자회사이기도 하다.

지난해 경쟁사인 지오아이 어낼리틱스를 인수한 디지털글로브는 이제 인공위성을 통한 지리정보 수집에서 벗어나 새 분야인 '인간 지리'까지 사업 영역을 넓힌 셈이라고 타임은 덧붙였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