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여의도 FKI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통일이 한국경제의 잠재 성장률 급락과 외풍 구조에 취약한 경제구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국내에서 필요한 광물자원을 북한에서 조달하면 연간 154억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우리 재계와 정부는 사전적 분산투자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로 바라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에 따른 건설 물량만 약 60조원에 이르는 등 통일은 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투자처를 제공한다"며 "해외 진출기업의 한국 유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막대한 통일비용과 갈등 발생 최소화를 위해 사회·경제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일 이전에 남북간 생산성 격차를 해소할 선투자를 추진하거나 통일 후 한시적으로 남북한 노동시장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양운철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독일 노동비용 증대 원인은 서독의 철강노조 등 강성노조로 인해 서독 임금체계를 동독에 적용한 것이 원인"이라며 "통일한국에서는 큼 북한내 기업유치, 북한주민의 북한 지역 내 거주 동기 부여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성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은 "정치, 경제적 통합과 함께 남북 국민간의 차별과 적대감을 어떻게 넘어설지가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현재 영호남 갈등도 치유 못하는 상황에서 남북 국민 간 갈등까지 더해진다면 통일대박은 핑크빛 전망이 될 수도 있다"고 '선 국민통합'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