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大반란…대구·광주 등에선 매매가 '추월'

전세값이 상승일로를 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선 매매가격을 추월하는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부동산114는 7일 국토교통부의 2013년 실거래가 자료를 근거로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 경북 포항시 등에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비싼 아파트가 생겨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광주 북구 문흥동 대주3단지는 전용 49.97㎡의 매매가는 5000만원~8350만원인 반면 전세가는 7200만원~8000만원에 거래됐다.

대구 달서구 본동 월성주공5단지는 전용 44.94㎡의 매매가가 5000만원~9000만원인 반면 전세가는 6000만원~8000만원이었다.


경북 포항시 장성동 럭키장성1단지 전용 73.77㎡는 매매가가 7100만원~1억 1300만원인데 비해 전세가는 7000만원~9000만원 수준이다.

전북 전주시 우아동3가 우신 아파트도 전용 57.84㎡가 매매가는 5500만원~7500만원인데 전세가는 5200만원~7000만원이다.

전남 목포시 상동 비파2단지 전용 48.34㎡도 매매가는 5100만원~8200만원, 전세가는 5800만원~7500만원에 거래됐다.

이처럼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지르는 현상은 주로 지방에서 벌어지고 있고, 이는 지방 아파트 가격이 최근 2~3년간 급등하면서 가격이 정점에 이르렀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에서도 가격 역전까지는 아니지만 전세가가 매매가에 근접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경기 고양시 중산동 중산태영6단지 전용 57.42㎡는 매매가가 1억 3700만원~1억 5000만원인데 전세가는 1억 1000만원~1억 3500만원이다.

가장 싸게 팔린 매매물건과 가장 비싸게 팔린 전세물건의 가격차가 200만원에 불과한 것이다.

경기 파주시 야동동 대방노블랜드 전용 45.68㎡는 매매가 8000만원~9500만원이고 전세가는 6000만원~8000만원이다.

경기 수원시 영통동 신나무실주공 59.96㎡도 매매가는 1억 7000만원~1억 9800만원이고 전세가는 1억 4000만원~1억 8000만원이다.

수도권 아파트는 지방과 달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매매가가 하락하고 전세가는 상승하는 희비 쌍곡선이 그려지는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다 집주인들이 전세 보증금 활용을 통한 수익률이 낮자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도 전세값의 급상승을 부추겼다.

이처럼 전세값이 매매가를 추월하거나 근접하는 현상이 늘어나면서 전셋집이 예기치않게 경매 처분돼 전세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주택’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