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의 지도부 임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된 바 없다. 앞으로 당헌당규위원회에서 논의한다”는 것이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 측의 공식입장이다.
문제는 이같은 방식을 적용할 경우 안 의원이 당 대표를 맡거나 새정치연합 측이 최고위원에 선출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것이다.
창당도 하지 않은 새정치연합이 조직과 인물에서 절대 열세이기 때문에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직에 진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의 한 핵심 의원은 “전당대회를 하자고 하면 민주당이 통합신당을 일방적으로 접수하려 한다는 의심을 받을 것”이라며 “정치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아직 논의하지는 않았으나 김한길 대표의 남은 임기인 내년 6월까지 공동대표로 간다는 등의 합의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김한길 안철수 투톱체제가 통합신당 창당을 준비하고 6월 지방선거를 치르는 임시지도부라는 주장이 있다.
따라서 임시지도부를 구성한 이유가 소멸됨과 동시에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구성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입장을 밝힌 민주당의 한 의원은 “자연스럽게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자연스럽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가는 것이 좋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오는 2016년 총선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김한길 대표의 남은 임기까지 투톱체제를 유지하는데 공감대가 형성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1년여 남은 김한길 대표의 잔여임기까지 투톱의 임기를 보장하고 차기지도부는 2015년 6월부터 2년 동안 당을 맡아 공천을 비롯한 총선을 자기 책임으로 치르게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김 대표와 안 의원은 약 1년 동안 통합신당의 공동대표는 지낸 뒤 당권을 다음 지도부에 넘겨줘야 한다.
특히 2016년 총선의 성과가 2017년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 만큼 민주당 내 각 계파가 이같은 정치일정에 합의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민주당의 한 3선 의원은 “총선 등 정치일정을 고려할 때 투톱의 임기를 김한길 대표의 남은 임기까지 한다는데 의원들 사이에 공감대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는 “2016년 총선이 있기 때문에 대표의 임기문제는 고도의 정치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의 배경에는 새정치를 앞세워 통합신당을 창당하는 만큼 이에 걸맞는 정당 지배구조가 확립돼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이를 테면 다음달까지 창당을 마치고 안 의원이 2년 임기의 통합신당 공동대표를 맡아 2016년 총선에서 공천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6월 지방선거의 성적표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투톱체제가 지방선거에서 적어도 선전을 했다는 평가를 받으면 임기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신당이 지방선거에서 참패할 경우 김한길 대표는 물론이고 공동대표를 맡기로 한 안철수 의원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민주당의 한 초선의원은 “지금 임기를 못 박으면 논란이 불가피하다”며 “창당과 지방선거를 마치고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느냐”고 묻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