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양국에 긴장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자제와 신중한 행보를 촉구했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상원 외교위원회가 개최한 '동북아에서의 미국 동맹 강화 방안'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기에 앞서 제출한 '한·미, 미·일 관계의 기회와 도전 과제'라는 제목의 서면 답변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 이 순간 많은 분야에서의 협력과 공통 이해관계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긴장되고 있다. 두 동맹(한·일) 간의 현재 갈등은 정말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해결하려는 진지한 노력이 양측에 모두 요구된다"며 "어려운 역사 이슈를 다루는 데 있어 신중함과 자제를 보여줘야 할 시급한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양국의 역사 문제는 갈등을 치유하고 관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다루는 게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또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한·일 간에 한세기 동안 이어져온 과거 유산에서 비롯된 긴장감을 참을성 있고 끈질긴 외교를 통해 해결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려 양국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셀 차관보는 "한국과 미국, 일본의 전략적 협력은 북한의 위협과 (중국의 부상과 영유권 분쟁 등) 여러 지역적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동북아시아의 미래 안보에 아주 핵심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그는 "아무도 역사의 부담이 안전한 미래를 구축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용인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한국과 일본과의 동반자 관계가 성숙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는 개별적인 양자 사안을 넘어 인도주의적 원조에서 기후변화까지 국제 현안에서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양국과의 협력의 혜택은 단순히 3개국 국민에만 국한되지 않고 세계 모든 국가의 시민에게 축적돼 돌아간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북한과 관련해서는 최근 유화적 제스처를 보이고 있음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나 비핵화 원칙에 따를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주는 신뢰할 만한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러셀 차관보는 "북한은 비핵화를 향한 불가역적 조치를 통해 2005년 9·11 공동성명에서 약속한 국제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며 "미국은 북한을 핵무장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단순히 대화 테이블로 돌아온다고 해서 보상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