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적인 방법으로 조속히 거국 연립정부를 구성하라는 공식 견해를 내놓고는 있지만 섣불리 발을 담그는 것은 삼가는 분위기다.
현직 대통령이 도피하고 야권이 주도하는 의회에 정권이 넘어갔지만 아직 정국의 향배가 어디로 향할지 예단하기 어려운 형국이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문제 전문가인 앤드루 바이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연구원은 2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도피 중인)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상황이 어떻게 될지, 권력이 어느 쪽으로 기울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미국을 더욱 조심스럽게 만드는 것은 바로 러시아의 반발이다. 우크라이나 정치와 경제에 막강한 영향을 끼치는 러시아가 협조하지 않으면 사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친 러시아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사실상 축출되자 이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군사개입을 통해 친 러시아 정권의 복원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망이 등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잘못 관리되면 '제2의 유고슬라비아 내전 사태'로 비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미국은 러시아의 군사개입 가능성을 막고 우크라이나의 거국 연립정부 구성에 동의하도록 유도하는데 외교력을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전 라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3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군사 개입하면 "중대한 실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라이스 보좌관은 NBC 방송의 '밋 더 프레스'에 출연해 "우크라이나를 분열시키고 새로운 폭력사태를 일으키는 것은 러시아나 우크라이나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사실 지난 21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했을 때만 해도 양국은 이번 사태에 공동보조를 취하는 듯했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야당 지도자들 간의 합의가 무산되자 양국은 분쟁을 조기 종식하고 연립정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태도는 하루 만에 달라졌다. 22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2일 존 케리 국무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야당 지도자들을 '폭도'라고 규정하고 이들의 불법행위를 막고 정국을 원상복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케리 장관은 23일 라브로프 장관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의회가 정치와 경제상황을 안정시키려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것을 강력히 지지한다"며 "미국은 러시아가 우리와 유럽연합(EU) 회원국들, 다른 유관 국가들과 동참해 우크라이나가 새로운 장(章)을 열도록 도와주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특히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적 통일성, 민주적 선택의 자유는 모든 국가에 의해 존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내전의 어느 한편에 개입할 경우 국토의 '분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러시아의 반응은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라는 게 워싱턴 외교가의 시각이다.
우크라이나에 대해 옛 소련 시절부터 이어진 전통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러시아로서는 친 러시아 성향의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실각이 가져올 부정적 여파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권력 공백기를 거쳐 미국과 서방세력이 주도하는 정부가 들어서면 동유럽 지역에서 러시아의 위상이 크게 위축되고 에너지 수송로 확보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러시아는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미국과 서방의 지지를 받아 권력을 잡은 유센코 정권은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향하는 러시아 가스관을 폐쇄한 바 있다.
스티븐 파이퍼 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는 AP통신에 "푸틴 대통령은 새로운 우크라이나가 서방과 보조를 맞추면 러시아의 유럽에 대한 영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고 풀이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반발에 미국으로서는 난감한 처지다. 심각한 경제난에 허덕이는 우크라이나에 대해 러시아가 예정된 구제금융을 해주지 않을 때 그 부담은 고스란히 미국과 유럽연합(EU), 국제통화기금(IMF)으로 넘어가게 된다.
물론 미국과 IMF는 우크라이나를 도울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그리스처럼 자칫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로 끝날 수 있는 천문학적 구제금융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욱 큰 문제는 미국이 맞닥뜨린 외교현안을 해결하는데 러시아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점이다.
특히 시리아 평화회담과 이란 핵협상을 풀려면 러시아의 역할은 결정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시리아 인도주의 결의안 채택과정에서도 미국은 거부권을 가진 러시아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지난주 초 케리 장관은 인도네시아 방문 과정에서 러시아가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을 방조하고 있다고 비난했으나 며칠 뒤 국무부 관리들이 나서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긴급히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우크라이나 내부 정국상황 추이와 러시아의 반응을 살펴보며 '개입'의 방향과 정도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국무부 2인자에 해당하는 윌리엄 번스 부장관은 이번 주 안에 우크라이나 수도인 키예프로 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