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성사될까? 최대 변수는 '한미연합훈련'

(사진=윤성호 기자/자료사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간 실무회담이 5일 열릴 계획인 가운데 2월말 시작되는 키리졸브(KR) 연습과 독수리(FE) 훈련이 이산가족 상봉 성사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 이후 북한의 거절, 그리고 역제안 등의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이산가족 상봉 관련 실무회담이 5일 열린다.


우리 정부는 오는 17일에서 22일 사이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자고 제안한 상태로 이날 실무회담에서는 이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행사 날짜를 2월 중순으로 잡은 이유는 2월 말 시작될 예정인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등 한·미 연합군사훈련 일정 때문이다.

키리졸브 연습은 가상으로 실시되는 지휘소훈련(CPX)이지만 독수리 훈련은 실제 한미 전력이 한반도에서 전개되며 미군이 보유한 첨단 무기들이 총동원 된다는 점에서 북한이 가장 경계하는 연합군사훈련이다.

지난해 북한은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기간을 즈음해 3차 핵실험, 남북불가침 협정 폐기 선언, 개성공단 차단 등 도발을 이어가며 한반도에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또, 올 초 중대 제안을 발표한 북한은 '군사적 적대행위 전면 중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취소를 요구해왔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이날 열리는 실무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성사의 전제조건으로 키리졸브 훈련 등의 취소를 내세울 가능성이 높다.

이에대해 우리 정부는 이미 "KR/FE연습은 2002년부터 실시한 방어적 차원의 연례적 연합연습"이라며 훈련 일정을 취소하거나 중단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상태다.

정부는 이미 중국과 북한에 연합훈련 일정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7일 이전에 일반에도 훈련 일정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실무회담에서 훈련 취소 카드를 들고 나오는 순간 2월 중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릴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올해 훈련에는 매년 북한을 긴장시켰던 핵 추진 잠수함이나 B-52 전략 폭격기 등의 무기가 참여하지 않는 등 '로 키(Low Key)'로 진행될 예정이다.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군 관계자는 "핵 추진 잠수함 등이 이번 훈련에 빠지는 것은 아무래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 등 남북간 상황이 고려된 것 아니겠냐"고 설명했다.

결국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취소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우리 정부의 이런 노력을 북한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성사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