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디언과 AP통신 등 외신은 20일 오후 7시18분(현지시각)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ESA 관제센터가 로제타호의 작동 재개 신호를 수신했다고 보도했다.
관제센터에 모인 과학자와 엔지니어 등 200여 명은 신호 수신이 확인되자 "그래 해냈다"며 서로 껴안고 환호했다.
로제타호의 트위터(@Esa_Rosetta)는 오랜 동면에서 눈을 떴다는 뜻으로 "헬로, 월드(Hello, world)"란 글을 보냈다.
로제타호는 17억 달러(1조8천억원)가 투입된 무인 우주선으로 목성과 가까운 궤도를 도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따라 붙어 해당 혜성을 탐사하는 것이 임무다.
2004년 3월2일 발사된 로제타호는 2011년 6월 혜성을 향해 날아가다 통신장치를 비롯해 기기 대부분의 전원을 끄는 '동면'에 돌입했다.
햇빛이 잘 닿지 않는 먼 우주에 들어서면서 태양전지 발전도 어려워 혜성 근처에 도착하기 전까지 불필요한 동작을 멈추고 전원을 아끼기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동면 뒤 지금껏 지구에서는 로제타호의 상태를 알 길이 없었다.
20일 동작을 재개한다는 '알람 시계'가 기체 내에서 돌아가고 있었지만 탐사선이 2년 반 만에 눈을 떠 제대로 작동할지 확신하기 어려웠다.
로제타호는 현재 지구에서 8억㎞ 떨어진 곳에 있다.
애초 로제타호의 동면에서 깨 6시간 '워밍업'을 하고 가장 이르면 20일 오후 6시30분(현지시간) 독일의 ESA 관제센터로 작동 재개 신호를 보낼 예정이었지만 실제 수신은 이보다 약 48분 지나서야 이뤄졌다.
로제타호 운영 매니저인 안드레아 아크코마초는 신호를 기다리던 상황과 관련해 "내 인생에서 가장 긴 시간이었다. 이제 탐사선을 되찾았다"고 안도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로제타호는 임무의 최종 단계에 돌입해 5월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200만㎞ 뒤까지 붙어 첫 사진을 찍고 8월 혜성에 근접해 표면 상태와 중력장 등을 세밀히 탐사한다.
ESA는 이어 11월11일에는 로제타가 싣고 있는 탐사 로봇 '필레'(Philae)를 세계 최초로 혜성 표면에 착륙시켜 토양 표본 분석 등의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혜성은 중력이 거의 없는 큰 '눈덩이'로 46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무렵의 환경을 거의 그대로 보전해 우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