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만기도래하는 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40조7천억원에 이른다. 지난해(23조2천억원)보다 57%가 많은 것이고, 2015년(15조6천억원)에 비해서는 2.6배나 많은 것이다.
또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10년 0.52%였던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현재 0.75%로 3년 사이에 0.23% 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LTV(주택담보대출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의 엄격한 적용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비교적 양호하다"며 "연체율 증가도도 집단대출의 부실영향이 큰 만큼”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말한다.
주택가격 하락으로 담보비율이 높은 일부 가구는 대환에 어려움을 겪겠지만 만기연장과 분할상환 등을 통해 별 문제 없이 넘어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문제는 미국의 양적완화축소에 따른 변수이다. 올해 양적완화축소가 본격화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면 사정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브라질이 이미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것을 비롯해 인도, 인도네시아 등 대부분의 신흥경제국에서 올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양적완화 축소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금리가 오르면 자국에 투자된 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연쇄적으로 금리를 올릴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자본 유출 규모가 계속 커질 경우 환율과 금리가 오르면서 국제금융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 그 여파로 우리나라도 금리가 크게 오르게 되면 가계부채 문제는 우리 금융시장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것이다.
천조원의 가계부채를 안고 있는 우리 경제의 가장 우려되는 시나리오이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7일 시중은행장들과 가진 금융협의회에서 신흥경제권이 국제금융시장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신흥국의 파장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앞서, 김총재는 지난해 11월에도 양적완화 축소로 금리가 상승 압박을 받을 경우 가계부채가 문제가 되지 않도록 모든 수단을 강구해 충격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일부 전문가들과 정치권에서는 위기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한다.
금융당국도 이런 점에 주목해 국제금융시장의 동향과 함께 가계부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