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은영씨. 그는 최근 롯데 프리미엄아울렛 파주점에 방문했다가 한 해외유명 브랜드의 부츠에 시선을 뺏겼다. 김씨가 눈독을 들인 부츠의 정가(백화점 기준)는 48만원. 하지만 이곳 프리미엄아울렛에는 50% 할인된 가격인 24만원에 판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온라인에서 가격을 검색한 김씨. 그런데 미국 온라인 쇼핑사이트인 아마존에서는 같은 제품이 120달러(약 12만7000원)에 팔리고 있었다. 해외배송료를 포함해도 15만원이 넘지 않는다. 김씨는 자칫하면 '큰일 날 뻔했다'며 흠칫 놀란다.
# 서울 양천구에 거주하는 김효진씨. 미국에 거주하는 블로거들을 이웃으로 등록한 그는 신제품이 올라오면 눈여겨봤다가 마음에 드는 제품이 나왔을 때 산다. 그는 최근 미국 LA에 거주하는 한 블로거를 통해 국내 백화점에서 40만원이 넘게 팔리는 고가의 가방을 10만원대에 구매했다.
삼성 스마트TV를 해외직구로 구입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해외직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해외직구족族은 말 그대로 해외직구를 즐겨하는 이들을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여름 온라인쇼핑족 1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 직접구매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4.3%가 "해외 인터넷쇼핑몰이나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2013년 예상 매출액은 무려 400억원이다. 매년 2배 가까이 성장하고 있다는 얘기다. 국내에 불고 있는 '해외직구 열풍'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외국에서 결제할 때 비자나 마스터 브랜드에 붙는 국제카드 수수료 1%를 내지 않아도 되는 비씨글로벌카드가 폭발적인 인기를 끈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011년 발급되기 시작한 이 카드는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400만좌를 돌파했다. 최근에는 아마존에서 결제하는 건에 한해 배송비 무료행사를 진행해 해외직구족의 호응을 얻기도 했다.
해외직구족이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이다. 한ㆍ미 FTA, 한ㆍ유럽연합(EU) FTA 발효로 관세장벽이 낮아졌음에도 국내에 들어오는 수입제품 가격은 여전히 높다. 지난해 대한상의가 소비자 1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91.3%가 "FTA 체결 이후에도 해외브랜드 상품가격은 동일하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유럽 명품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올려 소비자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직구를 통한 제품구입은 물류배송비를 감안하더라도 '실'보다 '득'이 훨씬 많다. 해외 유명 브랜드 제품을 현지 온라인 사이트에서 직접 구매하면 절반 또는 그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다. 해외직구를 잘만 하면 국내에서 60만원 정도에 팔리는 고가의 패딩 제품을 약 20만원에 구매할 수 있는가 하면 백화점에서 40만원에 팔리는 유명 브랜드 가방도 10만원대에 살수도 있다.
여준상 동국대(경영학) 교수는 "요즘은 20대뿐만 아니라 과거와 달리 모바일에 익숙한 30~40대도 해외직구를 한다"며 "가족 단위의 소비자들은 아이를 위한 옷이나 장난감을 비롯해 건강식품ㆍ주방용품까지 해외직구를 통해 구매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같은 세일 시즌에는 국내와 비교해 80% 가까이 저렴한 것도 있다"며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해외직구로 몰리는 건 당연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이 해외직구에 뛰어드는 방식도 다양하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해외 사이트에서 직접 신용카드나 페이팔(인터넷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을 통해 결제한 뒤 국내 배송대행업체를 통해 제품을 받는 거다. 현지에서 제품구매부터 배송까지 대행해주는 구매대행 업체도 있다. 언어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시간을 절약하는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형태다. 해외 국가에 거주하는 유학생이나 한인들은 블로그나 카페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다.
배송업체의 서비스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현지에 물류센터를 두는 것은 기본이고 직접 상품검수까지 마쳐 제품을 국내로 보낸다. 빠르면 이틀 안에 배송을 해주고 최대 한달까지 상품을 무료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해외직구 방법도 제각각
이는 해외직구 생태계가 개선되고, 해외직구족이 더 늘어날 것임을 시사한다. 해외직구와 관련해 다양한 커뮤니티가 생기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풀이된다. 사전에 제품을 미리 사용해본 이들이 자세한 후기를 남기는 가하면 이들 커뮤니티에는 해외 사이트의 '핫딜' '클리어런스 세일(Clearance Saleㆍ마감 세일)' 등의 할인정보가 빠르게 업데이트 된다.
해외직구가 늘어날수록 낯빛이 어두워질 수밖에 없는 곳은 유통업계다. 해외직구 대비 가격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김도현 국민대(경영학) 교수는 "국내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가장 큰 고민은 온라인몰과 가격경쟁을 해 이기기 어렵다는 거였다"며 "하지만 이제는 해외직구라는 더 무서운 경쟁자까지 등장했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지난해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추후 해외직구가 더욱 확산되면 국내 소매시장이 잠식될 수 있었다"며 "이는 유통기업은 물론 국산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기업의 매출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외직구가 다양한 구매채널 중 하나라는 주장도 있다. 김미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직구, 모바일 쇼핑ㆍ홈쇼핑ㆍ아울렛이 모두 같은 개념"이라며 "가치 소비가 인기를 끌수록 기존의 고가라인 수입브랜드나 정통 오프라인 업체가 영향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해외직구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이런 와중에 아마존의 국내 상륙 소식이 들려오면서 유통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정확한 진출 여부와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음에도 업계 안팎엔 "한국에 법인을 세웠다" "일본과 독일에 진출한 것처럼 한국 내 사업자들이 통신판매를 하는 형태에서 그칠 것이다" 등 카더라 통신이 쏟아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직구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해외사이트 중 하나가 아마존"이라며 "어떤 형태로 진출하든 국내 유통업계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신동희 성균관대(인터랙션사이언스학) 교수는 "아마존이 국내에 상륙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말을 이었다. "제아무리 아마존이라고 해도 몇몇 대형업체들이 과점하고 있는 한국의 독특한 온라인 마켓을 뚫기는 쉽지 않을 거다. 그러나 아마존으로선 아시아 시장진출의 교두보를 한국에 놓는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아마존 등장에 유통업체 '벌벌'
아마존의 앞선 기술도 유통업체를 위협할만 하다. 김도현 교수는 "아마존의 서비스를 한번쯤 사용한 사람이라면 아마존의 진출을 기다릴 것"이라며 "간소한 환불절차라든가 별다른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는 결제시스템은 국내 업체들이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로 앞서 있다"고 설명했다.
2012년 기준으로 아마존 회원수는 1억7000만명을 돌파했다. 미국에서만 매달 1억1000만명이 방문한다. 이는 미국 인구의 약 3분의 1 수준이 아마존을 방문한다는 얘기다. 유통시장을 흔들 변수는 이처럼 수없이 많다. 모두 해외직구에서 파생된 변수들이다. 유통업체가 격변기를 맞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