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한국 경제의 각종 경제 지표에서 삼성과 현대차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을 조사한 결과, 2012년 GDP 대비 양대 그룹 매출 비중이 35%에 달했다.
삼성이 23%, 현대차가 12%를 점했다.
두 그룹이 우리 경제생산의 3분의 1 이상을 부담하며, 사실상 이들 두 그룹과 거래를 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의 매출까지 감안하면 그 비중은 훨씬 더 높은 선까지 치솟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2008년 23.1%에 비해서도 11.9%포인트나 높아진 수준이다.
삼성이 15.9%→23%, 현대차가 7.2%→12%로 각각 7.1%포인트, 4.8%포인트 상승했다.
2012년 기준 국내 전체 법인(48만 2,574개)의 손익계산서상 계상된 법인세비용에서도 삼성과 현대차 양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6%에 달했다.
2012년 전체 법인세비용이 47조 3천억 원이었는데, 양대 그룹(삼성 6조 6천억 원, 현대차 3조 1천 억)이 9조 7천억 원을 부담했다.
2008년과 비교하면, 전체 법인세는 41조 5천억 원에서 13.9% 증가에 그친 반면, 양대 그룹의 법인세는 2조 9천억 원에서 6조 8천억 원으로 232%나 늘었다.
증시에서의 비중은 더 막강하다.
두 그룹의 상장 계열사는 27개로 2013년 9월말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1,741개사의 1.6%에 불과하지만, 전체 시가총액에서 두 그룹 상장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4.9%에 달했다.
삼성전자, 삼성화재, 삼성중공업,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 17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9월말 297조 6천억 원으로, 전체 시총 1,254조 3천억 원의 23.7%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기아자동차 등 현대차그룹 10개 상장사는 140조 원으로 11.2% 비중이었다.
두 그룹의 시가총액은 2008년 말 134조 1천억 원에서 지난해 9월말 437조 6천억 원으로 226%나 늘었고, 비중은 21.9%에서 13%포인트 높아졌다.
금액으로는 삼성이 186조 4천억 원(168%), 현대차가 117조 2천억 원(5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증시 규모는 612조 원에서 1,254조 3천억 원으로 105% 커졌다.
같은 기간 두 그룹을 제외하면 나머지 상장사 시가총액은 477조 9천억 원에서 816조 6천억 원으로 70.9% 증가에 그친다.
국내 전체 기업 경영지표에서도 삼성과 현대차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10~35%로 절대적이다.
2012년 국내 전체 법인이 거둔 매출 4,212조 원 중 11.3%인 476조 8천억 원을 양대 그룹이 올렸다.
영업이익은 192조 1천억 원 중 34조 5천억 원(22.4%), 당기순이익은 122조 9천억 원 중 42조 9천억 원(34.9%)으로 양대 그룹의 편중도가 더욱 심하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영업이익은 11.2%에서 곱절로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9.6%에서 25.3%포인트나 훌쩍 뛰어 올랐다.
삼성과 현대차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수익성이 계속 악화됐다는 의미다.
삼성의 주력상품인 휴대폰의 글로벌 판매에 제동이 걸리거나, 엔저 등 환율 악재로 자동차 판매 성장세가 꺾일 경우 우리 경제가 입는 타격은 그만큼 더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양대 그룹은 수많은 협력업체들을 거느리고 있어 이 부분까지 포함할 경우 잠재적 영향은 더욱 절대적이다.
실제로 삼성과 현대차그룹을 제외하면 국내 전체 법인의 영업이익은 2008년 136조 8천억 원에서 2012년 149조 원으로 9% 증가하는데 그친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07조 원에서 80조 원으로 되레 25.2%나 감소한다.
이같은 쏠림현상은 두 그룹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연결기준)만 따져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GDP 대비 삼성전자와 현대차 2개사의 비중이 2012년 각각 14.8%와 6.2%로 총 21%에 달한다.
지난해 3분기에는 비중이 22.5%로 더욱 높아졌다.
법인세비용 부담도 2개 기업 비중이 12.8%와 5.4%로, 도합 18.2%를 차지한다.
삼성전자 단일 기업이 부담하는 법인세만 3조 3천억 원이며, 종속회사를 합칠 경우 6조 원에 이른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국내법인 전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19.5%, 26.8%로 극단적 쏠림 현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