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국외소비 사상 최대…10년새 10배 증가

정부, 외국서 카드 사용 규제 강화

브라질 국민의 국외소비가 최근 10년 사이 10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현지시간) 브라질 정부와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국외소비는 231억2천500만 달러(약 24조1천656억원)로 2003년 같은 기간의 20억5천500만 달러(약 2조1천474억원)와 비교해 1천25% 증가했다.

연간 국외소비는 2003년 22억6천만 달러(약 2조3천617억원), 2005년 47억2천만 달러(약 4조9천324억원), 2007년 82억1천만 달러(약 8조5천794억원), 2009년 109억 달러(약 11조3천905억원), 2011년 212억6천만 달러(약 22조2천167억원), 2012년 222억 달러(약 23조1천990억원)를 기록했다. 2013년은 231억3천만 달러(약 24조1천708억원)으로 추산됐다. 1947년부터 중앙은행의 공식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것이었다.

전문가들은 지난 10년간 브라질 헤알화 가치의 지속적인 상승과 국민의 실질소득 증가를 주요인으로 분석했다. 브라질 내 판매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제품을 미국이나 유럽에서 대량 사들인 것도 국외소비 급증을 부채질했다.

국외 여행자도 빠르게 늘었다. 2003년 236만명에서 지난해는 812만명으로 늘어 244%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미국 여행자는 2003년 34만9천명에서 지난해는 179만1천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브라질을 찾은 외국 여행자는 2003년 413만명에서 지난해에는 567만명을 기록했다.

정부는 국외소비를 줄이는 방안의 하나로 지난달 28일부터 금융거래세(IOF)를 인상했다. 외국에서 선불카드를 사용하거나 현금카드로 돈을 찾을 때 부과하는 IOF 세율을 현재의 0.38%에서 6.38%로 높였다.

외국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부과하는 IOF 세율은 2011년 초 6.38%로 오른 바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가 달러화의 국외유출을 억제하고 다른 국가와의 여행수지 균형을 맞추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조치로 연간 5억5천200만 헤알(약 2천467억원)의 세수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