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해외 의류공장에서 해마다 구입하는 의류의 규모는 무려 15억달러(1조6천억원가량) 규모에 달한다.
미국의 경우 군인은 물론 공항·항만 등 공공분야 관련 인력이 필요한 의류를 대부분 국외에서 구매한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14개월간 버락 오바마 정권이 국외 공장의 노동·환경 조건 개선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해왔지만 정작 미국 연방정부의 주문에 따라 의류를 생산하고 있는 각국 공장의 노동조건과 노동자 인권은 열악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대의 국외 의류 구매 당사자인 미국이 스스로 인권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정부의 의류하청 국가는 방글라데시, 도미니카공화국, 아이티, 멕시코, 파키스탄, 베트남 등이다.
이 신문은 이들 나라 의류공장의 노동조건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미국 연방정부가 이들 나라의 공장과 직접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자를 통해 거래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간접 주문' 방식으로 인해 미국 연방정부는 현지 의류공장의 실태를 정확히 알 수 없을 뿐더러 인권탄압에 대한 조사를 하려 해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신문은 미국 연방정부의 하청에 따라 옷을 만드는 각국 공장의 열악한 노동실태를 소개했다.
우선 미국 해병대의 상징이 붙은 옷을 생산하는 방글라데시 의류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3분의 1은 어린이라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방글라데시의 또 다른 공장에서는 소속 노동자의 65%가 맨발 상태에서 일하며, 노동자의 절반가량은 마스크가 없어 솜으로부터 나오는 먼지에 여과없이 노출돼 산업재해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태국 치앙마이에서 미국 정부의 주문으로 옷을 만들고 있는 한 공장은 공장 노동자가 옷을 만들다 실수를 하거나 불량품을 생산하면 일당 10달러에서 5%를 깎아버린다. 아울러 화장실에 카메라까지 설치해둔데다 공장 매니저의 노동자에 대한 폭행이 잦다고 폭로했다.
미군 특히 공군의 주문에 따라 옷을 만드는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의류공장에서는 화장실에 가는 시간이 한정돼 있어 일부 노동자는 일을 하다 옷에 소변을 싸는 일이 흔하다고 예를 들었다.
이 신문은 미국 연방정부마저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싼 임금을 주는 공장을 `찾게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자유무역협정(FTA)을 꼽았다.
오바마 정부 들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나라가 늘어나 무역장벽이 철폐되자 저렴한 비용으로 공장을 가동할 수 있는 지역으로의 자유로운 이동이 늘어나게 됐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구매자와 소비자는 싼 가격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싼가격만 좇는 `묻지마식' 계약으로 인해 현지 노동자의 인권이 지켜지는 지는 관심 밖으로 밀려난 것이다.
실례로 미국 정부는 3년전까지만 해도 푸에르토리코에 시간당 7.25달러의 최저임금을 주고 군복 생산을 맡겼으나 2011년부터는 대부분의 주문이 도미니카공화국으로 옮겨갔다.
도미니카공화국 노동자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80센트다. 이후 일부 주문은 시간당 최저임금이 평균 72센트 수준인 아이티로 옮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