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호주 관계, 대통령 도청의혹에 '급랭'

인도네시아, 주호주대사 소환…호주 총리는 사과 거부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 전화 도청 등 호주의 스파이 행위에 강경 대응하면서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19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도청행위에 대해 일반 국민이 이해할 수 있는 공식적인 해명을 내놓을 것을 호주 정부에 요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도청 의혹 보도가 나온 뒤 미국·호주에 강력하게 항의했고 계속 단호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호주 정부와의 많은 상호 협력 의제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도요노 대통령의 이 발언은 자신 등에 대한 전화 도청 의혹에 항의해 호주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를 소환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이 문제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을 거듭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호주 국영 ABC방송 등은 이에 앞서 에드워드 스노든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의 폭로 문건을 인용, 호주 전자감시기관인 방위신호국(DSD)이 2009년 유도요노 대통령 등에 대한 전화 도청을 시도했다고 보도했다.

DSD 비밀문건에는 2009년 8월 유도요노 대통령의 15일간 휴대전화 사용 내역을 추적한 내용이 담겨 있고 대통령 부인 아니 여사와 부디오노 부통령, 유숩 칼라 전 부통령 등 측근 9명도 감시대상에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보도는 호주대사관 등 외교시설의 스파이행위 의혹과 해상 난민 문제 등으로 이미 고조돼 있던 양국 간 갈등에 기름을 붓는 결과가 됐다.

외교채널을 통해 항의하고 해명을 요구하는 선에서 대응을 자제하던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 보도 후 호주주재 자국 대사 소환과 호주 정부와의 협력 재검토라는 강경 카드를 꺼내 들었다.

토니 애벗 호주 총리는 그러나 이날 "호주가 자국을 보호하기 위해 취한 조치에 대해 사과하리라고 기대해서는 안 된다"며 사과 요구를 일축했다.

그는 국회 답변에서 "모든 정부는 정보를 수집하며 다른 모든 정부 또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전제한 후 정보수집 활동은 "우방을 해치기 위한 게 아니라 돕기 위한 것"이라는 말로 스파이 행위를 정당화했다.

유도요노 대통령은 이에 대해 "호주 총리가 인도네시아에 대한 스파이 행위를 마치 아무것도 잘못한 것이 없다는 식으로 대수롭지 않게 언급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인도네시아 일각에서는 대통령 부인까지 도청 대상이 된데 분노를 표하며 미국과 호주 외교관을 추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제법 전문가인 인도네시아 국립대(UI) 힉마한토 주와나 교수는 우방에 대한 도청행위에 대해 단호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유도요노 "대통령은 즉각 미국과 호주 외교관 2∼3명씩을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티모르 독립과정에서의 대립 등 뿌리 깊은 갈등의 역사를 뒤로하고 경제 교류를 확대하는 등 최근 협력을 강화해온 인도네시아와 호주가 이번 외교적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나갈지 주목된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