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에 대한 신뢰 잃었다면?"…男 '그냥 산다' vs 女 '헤어진다'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결혼 후 배우자에 대한 신뢰를 잃었을 때 혼인유지 여부에 대한 남녀간의 선택이 전혀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은 10명 중 7명 정도가 그냥 사는 쪽을 택하나, 여성은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이혼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는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가 연애결혼 정보업체 커플예감 필링유와 공동으로 전국의 결혼희망 미혼 남녀 508명(남녀 각 254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배우자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면 어떻게 할 것입니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이 질문에 대해 남성은 응답자의 70.9%가 ‘가능하면 그냥 산다’고 답했으나, 여성은 87.8%가 ‘헤어진다’고 답해 남녀 간에 상반된 견해를 보였다.


기타 남성 29.1%는 ‘이혼한다’, 여성 12.2%는 ‘그냥 산다’는 반응을 보였다.

손동규 비에나래 대표는 “배우자에 대해 믿음을 잃게 하는 외도, 경제적 문제, 그리고 폭행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많이 일으킨다”며 “따라서 결혼 후 배우자에 대한 불안감은 아무래도 여성들이 더 크기 때문에 경계 심리 또한 높다”고 설명했다.

‘결혼 직후 배우자에게서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면 어떻게 대응할 것입니까?’에서는 남녀 모두 ‘즉시 시정토록 하겠다’(남 68.9%, 여 51.6%)는 대답이 절반을 넘었다.

특히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1년 정도 관망한다’(남 14.6%, 여 25.6%)가 뒤따랐고, 그 외 남성 9.1%는 ‘무시하고 산다’로, 여성 19.7%는 ‘내가 상대에게 맞춘다’고 답했다.

정수진 커플예감 필링유 상담팀장은 “최근에는 결혼 후 상대에게서 심각한 문제가 발견될 경우, 특히 여성들 중에는 이혼을 택하는 비중이 높다”며 “따라서 남성들은 결혼생활을 계속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대의 문제점을 고치도록 유도하고, 여성은 상대의 개선여부를 보고 이혼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문제점을 시정토록 종용한다”고 풀이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