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中중재안 현단계선 수용어렵다' 입장 정해

우다웨이 방북 결과 주시…후속 협의는 지속

한국과 미국, 일본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3자 회담'을 갖고 비핵화 협상 재개조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조태용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글린 데이비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날 오후 국무부 청사에서 가진 회담에서 최근 한반도 상황과 함께 6자회담 재개 조건 등에 대해 폭넓은 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은 최근 북한이 조건없는 회담 재개를 주장하고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적극적인 외교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북한의 비핵화 약속 준수가 전제돼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핵 6자회담이 실질적인 비핵화를 실현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될 것이라는 확신없이 재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또 최근 미국을 방문한 중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미국측에 전달한 이른바 '재개조건'에 대한 평가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정부 고위당국자는 전날 "중국이 과거보다는 북한의 핵포기 쪽으로 전향적 입장을 갖고 있지만 한국과 미국이 보기에는 좀 더 진전된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현단계에서 중국이 제시한 이른바 '중재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3국은 이에 따라 현재 북한을 방문중인 우다웨이 대표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 중국의 설득노력으로 북한이 보다 진전된 비핵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주목된다. 하지만 북한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할 경우 6자회담 재개여건 조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조태용 본부장은 이번 방미 이후 조만간 중국을 방문해 후속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데이비스 특별대표도 이달중 중국에서 우다웨이 대표와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3국의 6자회담 수석 대표가 워싱턴DC에서 만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약 1년만이다.

당시에는 임성남 전 본부장과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전 국장, 데이비스 대표가 회동했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