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의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에서 31일 열린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공개청문회에서 앤드류 나치오스 전 미국 국제개발처장(USAID)은 1990년대의 대기근의 책임을 묻는 마이클 커비 조사위원장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나치오스 전 처장은 "북한 정권은 대기근으로 어떤 참혹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있었지만, 북한은 정권유지가 최우선이기 때문에 주민을 보호하려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나치오스 전 처장은 "북한은 주민의 아사를 충분히 예측했지만, 김 씨일가에 충성하는 약 2천 명의 엘리트 계층을 포함한 북한 정권을 지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식량을 구입하거나 원조를 요청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1997년 국제구호단체 월드비전의 조사단으로 북한을 방문한 바 있는 나치오스 전 처장은 "대기근 당시 성분이 낮은 이른바 적대계층, 소외계층이 살고 있던 동북지역에 식량이 전혀 공급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식량계획의 조사를 인용해 북한에서는 성분에 따라 배급량이 200%-300%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마커스 놀란드 부소장도 이날 청문회에서 "대기근에 대한 북한 정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놀란드 부소장은 "당시에 북한 주민 60만 명에서 100만 명이 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비극은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라고 밝혔다.
놀란드 부소장은 "북한 당국은 부족한 식량을 수입하거나 외부 원조를 요청하는 대신 주민들에게 '하루 두 끼 먹기 운동'을 택했다"며 "정권 유지를 위해 주민의 기본적인 식량권을 무시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