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조사본부는 22일 "합동조사팀의 조사 결과 언론에 보도된 4건의 SNS 계정이 국군사이버사령부 소속 군무원 3명과 현역(부사관) 1명의 것으로 확인했고, 본인들은 자신들의 계정이 맞다고 인정했다"고 중간조사 결과를 밝혔다.
또, "이들 관련자들은 소환 조사에서 개인블로그와 트위터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것이고 별도의 지시는 받지 않았다고 진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부대차원의 조직적 개입 여부와 국정원 등 여타 기관과의 연관성 등을 밝히기 위해 수사로 전환했다.
조사본부는 "국정원과의 연계 가능성도 수사 대상에 포함시켜 수사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관련자들이 댓글을 올린 시간과 장소에 대해서는 중간 결과에서 발표하지 않아, 시간벌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일주일 동안 조사해 내놓은 국방부 합동조사단의 중간 조사결과는 이미 언론에 밝혀진 사이버 4명에 대한 면담 내용에 불과하다"며 "증거인멸을 위한 시간벌기용 조사였다"고 규정했다.
◈ 사이버사령부 요원 대거 채용 배경 등은 상세히 해명
사이버사령부의 대규모 군무원 선발과 관련해 대선 전 대규모 선발은 아니라고 국방부 관계자는 해명했다. 사이버사령부는 2010년 1월 창설때부터 연도별로 채용을 해왔고, 2012년에 5회에 걸쳐 79명을 채용했는데, 이는 그해 천안함 사건과 디도스 공격 등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예상돼 국방부에 건의해 대규모 채용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정원이 사이버사령부에 예산을 지원해 통제했다는 의혹, 댓글 활동 성과로 대대적 포상이 있었다는 의혹, 국정원 고위간부와 사이버사령부 간부와의 연계 의혹, 사이버사령부 고위 간부의 보은 인사 의혹 등에 대해서는 보직 기간, 예산 규정 등을 제시하며 상세하게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