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끈 고용증가"…민간부문 뒷받침 아직 미약

고용증가 46만명으로 올해 최대치…상당부분 정부 정책·재정사업 영향

(송은석 기자/자료사진)
지난달 취업자수가 46만명 증가해 올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취업자 증가의 상당 부분은 정부나 공공부문에 치우쳐있고, 민간부문의 고용은 여전히 개선흐름이 미약하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546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취업자가 46만3천명 더 늘어났다. 지난 6월 취업자 증가폭이 30만명대를 넘었고 8월 이후에는 40만명대로 올라서 고용 개선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로써 OECD 기준(15세~64세) 고용률은 65%로 지난 8월보다 0.4%p 늘어나, 박근혜 정부의 최종 목표치 70%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

5,60대가 고용 증가를 견인하는 경향은 계속됐지만, 1년 넘게 내리막길을 걷던 20대 취업자수가 1년 5개월 만에 3만명 증가로 돌아선 점도 고무적이다.

하지만 늘어난 일자리의 상당수가 정부나 공공부문에 치우친 점은 여전히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취업자 증가폭이 가장 컸던 산업은 17만명이 늘어난 '보건·복지 부문'으로, 정부의 복지확대 정책의 영향이 컸다.


통계청 공미숙 고용통계과장은 "몇 달째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정확한 전망이나 분석은 불가능하지만 정부의 복지정책 확대와 재정사업들이 일자리로 연결이 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추경 일자리 사업 등 재정사업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것도 최근 고용 개선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재정 일자리 사업 대부분이 7월부터 채용을 시작하고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등은 9월부터 시작한다"며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이 더욱 확대될 것임을 시사했다.

반면, 제조업 부문은 고용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증가율이 1%미만으로, 증가세가 미약한 상황이다. 게다가 지난달 취업자가 대거 늘어난 숙박과 음식, 도소매 부문은 추석연휴의 영향이 커서 이 또한 증가세가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20대 취업자 증가도 사실상 인구증가(전년동월대비 9만명 증가)에 힘입은 바가 커서, 20대 고용률은 오히려 0.3%p 하락했다. 실제로 20대 청년 고용이 개선됐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또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이라고 대답한 사람 가운데 20대가 지난해 9월에 비해 4만1천명(15.5%) 더 늘어나, 구직활동을 중단하거나 포기하는 청년들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의 고용 개선세를 계속 이어가려면, 정부의 일자리 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민간부문의 고용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