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 인수전의 가장 큰 잣대는 역시 자금력이다.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극대화 원칙에 따라 인수가격을 최우선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인수가격만 놓고 보면 막강한 자금력을 보유한 기업은행의 우세가 예상된다.
경남은행 인수를 위해 수년전부터 상당한 공을 들여온 BS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 역시 인수자금 마련에 큰 문제는 없다.
가격 경쟁에서는 경남과 울산지역 상공인들이 구성한 '경은사랑 컨소시엄'이 제일 뒤쳐지는 것이 사실이다.
경남은행 인수추진위는 "지역 자본과 사모펀드를 합하면 인수자금은 충분해 금융당국의 우려를 감안해 과도한 지역 자본 참여보다는 적정선에서 투자금액을 오히려 조율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지만, 다른 은행들을 따라잡기에는 사실상 버겁다.
하지만, 정부는 가격 외에도 지역사회 기여도 등도 평가 배점에 포함해 반드시 입찰가만 높다고 인수할 수는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전이 가격 경쟁에서 큰 차이가 없고 명분싸움으로 간다면 경은사랑 컨소시엄에도 승산은 있다.
'지방은행'이란 특성을 감안할 때 지역 정서를 배제하긴 힘들 거란 전망 속에 정치논리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경남은행 매각은 경제논리보다 정치논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가 최고가 입찰 원틱을 내세워놓고도 이후 정성적 평가기준을 추가 검토한 것도 지역 정서를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은사랑 컨소시엄은 '지방은행을 지역에 되찾아 오는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향토은행을 절대 외부에 뺏길 수 없다"는 지역 정서에 지역 정치인들의 정치논리까지 보태져 정부도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BS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는 다른 은행이 인수하면 지자체 금고를 빼버리겠다고 말할 정도로 지역민들의 강한 거부감에 이렇다 할 대응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지역 갈등에 부담을 느낀 정부가 지역감정에 비교적 자유로운 기업은행을 선택할 상황도 예상이 가능하다.
민영화 취지에 역행한다는 반발 속에서도 기업은행이 인수전에 나선 것에 대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남은행을 특정 지역에 넘기지 않겠다는 정부의 의중이 담겼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