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겸재(謙齋) 정선(鄭歚, 1676~1759)은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라는 우리 고유의 화풍(畵風)을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의 산천이 아닌 조선의 산천을 있는 그대로 그렸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졌다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진경시대란 양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조선 고유의 진경문화를 이루어 낸 시기로, 정선이 활동한 영조대는 진경시대 중 최고의 전성기였다.
정선의 본관은 광주(光州)로, 선대는 경기도 광주(廣州) 일대에서 세거(世居: 한 고장에 대대로 삶)하다가 고조부 연(演) 때부터 도성의 서쪽, 즉 인왕산 기슭에 터전을 잡았다.
정선은 1676년 아버지 시익(時翊)과 어머니 밀양 박씨 사이에서, 한성부 북부 순화방 유란동(幽蘭洞)에서 태어났다. 현재 종로구 청운동 경복고등학교가 위치한 북악산 서남쪽 기슭 인근이었다.
정선의 그림 중 가장 유명한 <인왕제색도(仁旺霽色圖)>와 같이 인왕산을 배경으로 한 그림이 많은 것은 그의 근거지가 바로 인왕산 일대였기 때문이었다.

정선은 40대 이후에 관직에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 1721년(경종 1) 46세 때 경상도 하양(河陽)의 현감을 맡아서, 5년간 근무한 후 1726년(영조 2) 임기를 마쳤다.
이때의 작품으로는 성주 관아의 정자를 그린 <쌍도정도(雙島亭圖)>가 전한다. 1727년 정선은 북악산 서쪽의 유란동 집을 작은 아들에게 물려주고, 인왕산 동쪽 기슭인 인왕곡(仁旺谷)으로 이사를 했다.
정선은 84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 이곳에서 살았으며, 그의 대표작인 <인곡유거(仁谷幽居)>는 이곳에서 유유자적하게 살아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자화상처럼 그린 그림이다.
1729년 정선은 영조의 부름을 받아 한성부 주부가 되고, 1733년 6월에는 청하현감에 임명되었다.
청하현감 시절 그림으로는 <청하성음도>, <내연산삼용추(內延山三龍湫)>가 있다.
정선은 65세부터 70세까지 현재는 서울에 편입된 경기도의 양천현령을 지내면서 서울 근교의 명승들과 한강변의 풍경들을 화폭에 담았다.
9세인 1754년에 종4품인 사도시첨정(司䆃寺僉正)을 거쳐 1756년에는 종2품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까지 올랐으니 관운도 좋았다고 할 수 있다.
정선이 그린 그림 중에는 18세기 한양과 그 주변 풍경을 담은 작품들이 돋보인다.
인왕산에 있던 자신의 집을 배경으로 한 <인곡유거(仁谷幽居)>와 이곳에서 쉬고 있는 정선 자신의 모습을 그린 <독서여가(讀書餘暇)>를 비롯하여, <백악산(白岳山)>, <대은암(大隱巖)>, <청송당(聽松堂)>, <자하동(紫霞洞)>, <창의문(彰義門)>, <백운동(白雲洞)>, <필운대(弼雲臺)>, <경복궁(景福宮)>, <동소문(東小門)>, <세검정(洗劍亭)> 등은 300년 전 서울의 풍경화 그 자체이다.
<청송당>의 그림에 그려진 큰 바위는 현재 경기상고 안에 그대로 남겨져 있고, <필운대>의 그림과 배화여고 건물 뒷 편에 위치한 현재 필운대의 모습을 비교하면 정선의 그림이 진경산수화임을 실감하게 된다.
제목 그대로 서울과 주변의 명승을 담은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는 한강을 중심으로 한 한양의 주변 지역의 모습이 담겨 있다.
양수리 부근에서 한양으로 들어와 행주산성까지 이르는 한강과 주변의 명승지가 25폭의 그림으로 형상화되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인왕산과 한강 일대 등 서울 주변의 모습을 담은 그림과 함께 정선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그림은 바로 금강산 그림이다.
정선의 30대 행적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두 차례에 걸친 금강산 여행이다. 그는 36세 되던 해에 처음 금강산을 다녀왔고, 이듬해에도 금강산을 다녀왔다.
금강산을 다녀온 후 정선은 13폭의 그림을 남겼다.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 그림에는, <금강산내총도>, <단발령망금강>, <장안사>, <불정대>, <벽하담>, <백천동장>, <옹천>, <고성문암관일출>, <해산정>, <총석정>, <삼일포>, <시중대> 등 금강산의 명소들이 그려져 있다.
정선은 청하현감으로 재임하던 시절인 1734년 최고의 금강산 그림을 남겼다.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에 소장된 <금강전도(金剛全圖)>가 그것이다.
<금강전도>는 마치 항공 촬영을 하듯이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모습으로 금강산 1만 2천봉을 장대하게 담아냈다.
1747년 72세의 정선은 다시 금강산 그림을 그렸다. 이것이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정묘년 해악전신첩]이다.
이외에도 정선은 부채에 그린 <정양사도>와 <금강전도>를 비롯하여, <만폭동도>, <비로봉도> 등 금강산을 소재로 한 명품들을 남겼다.
36세에 처음 실물을 접하고, 84세로 사망할 때까지 금강산은 늘 정선의 가슴속에 자리하였고, 정선은 다양한 필치로 금강산을 화폭에 담아 금강산의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
방안에는 책이 가득하여 정선의 독서벽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그림으로나마 정선을 만날 수 있는 것은 작은 즐거움이다.
그의 붓끝에서는 18세기 조선의 풍경이 마치 사진을 찍은 것처럼 생생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거의 모든 집에서 그의 그림을 소장할 만큼 화가 정선의 위상이 높아졌다.
<인왕제색도>나 <금강전도>와 같이 우람하고 힘찬 산수화는 물론이고, 섬세한 붓 터치가 돋보이는 초충도(草蟲圖)에 이르기까지 정선은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였다.
정선의 작품은 뛰어난 필치와 사실적인 묘사로 당시의 풍경들을 손에 잡힐 듯하게 한다.
정선이 살았던 인왕산과 북악산 주변의 그림들과, 배를 타고 가면서 그린 한강 교외의 그림들은 300년전 서울과 그 주변의 모습들을 생생히 복원시키고 있다.
진경산수화의 백미 정선의 그림들과 함께 600년 고도 서울과 한강의 자취를 찾아가는 여행을 떠나볼 것을 권한다.
(글: 신병주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