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은 경상남도가 운영하는 공공의료기관이라는 점에서 더욱 안타깝게 한다.
공공의료기관은 지역 저소득층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수익성보다는 복지차원의 의료기관이다.
따라서 공공의료기관이 폐쇄됐다는 것은 정책책임자들의 기본적인 복지정책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지방정부에서 벌인 많은 사업 가운데 수익이 덜 발생하면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릴 수는 있다.
공공성이 강한 공공의료기관이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접는다는 것은 복지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것과 같다.
경상남도 의회는 100년 넘게 도민과 함께한 의료원을 단 5분도 안 돼 폐원을 결정했다고 한다.
진주의료원의 폐원 결정은 홍준표 지사와 소속된 새누리당의 복지정책 단면을 드러낸 사건이다.
미국도 전체병원 중 35%는 공공병원이고, 35%는 비영리법인이다.
그리고 국내 34개 지역의료원 모두가 적자를 내는 것은 아니다.
2011년 청주와 충주, 서산, 김천, 제주 등 7개 의료원은 흑자를 냈다.
진주의료원 정책 책임자들은 보다 진중하게 심사숙고하고 경영쇄신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자문해야 한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2012년 12월 20일 취임했다.
6개월도 채 안돼서 진주의료원을 폐쇄하는 주인공이 됐다.
진주의료원은 일제강점기부터 경남지역 주민들과 애환을 함께해 온 의료원이다.
진주의료원 폐원은 홍지사의 경영능력과 선거 때마다 주문처럼 외치는 새누리당 공공의료정책의 단면을 드러낸 사건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정부도 소속정당도 자치단체의 결정에 너무나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34개 지역의료원 중 적자를 내고 있는 27개 의료원에게 경영혁신 논리보다는 폐쇄 논리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진주의료원 폐원조치는 국회의 국정조사를 앞둔 상황에서 기습 처리했다는 점에서 더욱 황당하다.
논란의 단초를 사전에 제거하겠다는 의도를 갖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일이다.
진주의료원 폐원은 경영혁신을 통해 노사공동으로 공공의료원을 살리기보다는 주민들의 삶의 질은 외면한 채 폐쇄에만 급급했던 기관으로 남을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이 어떤 것인지를 심사숙고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