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협회(회장 정준양)가 제14회 철의 날을 맞아 발표한 ''''철강재 출하구조''''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계는 자동차, 조선 등 철강수요산업의 수요 증가로 연평균 3.4% 증가해, 지난 10년간의 총출하량(국내출하+수출)은 6억8,197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출하 중 국내 출하는 연평균 1.6% 증가해 5억508만톤으로 68.2%의 비중을 차지했고, 수출은 철강업체들의 해외공급 확대에 따라 연평균 8.9% 증가하여 1억7,689만톤으로 31.8%의 비중을 나타냈다.
또한 국내출하 중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으로 출하된 철강재는 연평균 7.1% 증가한 1억6,505만톤으로 출하비중은 2003년 59.3%에서 2012년 71.9%로 계속 증가했다.
반면 건설은 8,013만톤으로 연평균 0.9% 감소하는 등 건설 산업에서 철강비중은 점점 축소되고 있다.
제조업 중 지난 10년간 조선용으로의 출하된 철강재는 모두 5,188만 톤으로, 이는 8000 TEU급 배 3,000척을 건조할 수 있는 양이다.
또 자동차용 출하된 철강재는 5,631만 톤으로, 중형 자동차 4,000만대(중형 승용차 1대에 1,360kg)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한편 조선용으로의 출하비중은 2003년 16.3%에서 2012년 20.8%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동차용의 출하비중도 2003년 18.2%에서 2012년 25.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철강산업이 기초소재인 철강재를 제공하여 자동차, 조선 등 국내 주력 산업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전자 부문도 가전산업의 수요호조로 평균 출하비중은 2.4% 수준이고, 조립금속업종과 일반기계 업종은 각각 2%대 내외의 출하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철강협회 오일환 상근 부회장은 ''''우리나라 철강산업은 값싸고 좋은 품질의 철강재를 조선 및 자동차 사업에 공급함으로써 오늘날 우리나라 선박 건조량이 세계 2위, 자동차 생산량이 세계 5위를 차지하는데 기여해 왔다''''고 말하고, ''''향후에도 철강산업은 수요업계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국가발전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중견 강관업체인 하이스틸 엄정근 사장이 국내 철강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은탑산업훈장을, 동부제철 이덕재 부사장이 동탑산업훈장을 받았다.
또한 현대제철 이계영 전무가 산업포장을 포스코 김선구 그룹리더와 동국제강 하상수 노조지부장 등 2명이 대통령 표창을, 유니온스틸 김동균 기장 등 2명이 국무총리표창, 연세대학교 손일 부교수 등 17명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받는 등 총 24명에 대한 정부 포상이 있었다.
또한 철강인들의 창의와 연구개발 의욕을 진작시켜 철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82년에 제정, 올해로 30회를 맞은 철강기술상에는 포스코특수강 박진만 부장, 철강기술 장려상에는 고려제강 배종구 책임연구원이 각각 선정되었으며, 철강기능상에는 포스코 변상근 파트장이 철강기능장려상에는 대한제강 박성원 계장이 선정되어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