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후 장미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적자 가능성 등 각종 리스크에 노출돼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노컷뉴스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실속있게 치르기 위해 평창이 가야할 방향을 4회에 걸쳐 보도한다.[편집자 주]1. 시설투자 전 다목적 활용방안 세우자
2. 경기시설 활용방안, 지금부터 마련하자
3. 미디어.숙박.교통시설, 멀리보고 투자하자
4. 평창, 세계적인 관광.휴양도시를 꿈꾸자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까지 앞으로 7년. 이제는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 나아가 흥행과 흑자 올림픽을 위해 준비해야 할 때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생산액 유발 효과는 20조 4973억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8조 7546억원, 고용 창출 효과는 23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기대할 수 있는 관광산업 발전 및 인프라의 선진화, 민간투자 촉진 등 수치로 따질 수 없는 간접 효과는 더 크다. 평창의 동계올림픽 개최가 강원도 성장에 큰 동력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
강원도 최문순 도지사는 "최대한 흑자 올림픽을 하겠다"면서 "겉모양만 화려한 올림픽은 하지 않겠다. 외국에서도 이미 흑자올림픽을 한 사례가 있어서 그것을 철저히 배워 적자가 나지 않는 올림픽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1932년과 1980년 두 차례에 걸쳐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미국 동북부의 소도시 레이크플래시드와 199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노르웨이 릴레함메르는 평창이 기대하는 흑자 올림픽의 대표적인 사례다. 두 도시는 올림픽 개최 후 연간 수백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휴양도시로 탈바꿈하며 장기적인 흑자를 냈다.
그러나 흑자를 낸 도시보다는 적자를 본 도시가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19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대표적인 적자 올림픽으로 꼽힌다. 나가노는 2800만달러 흑자를 냈다고 주장했지만 경제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실제 110억달러의 빚을 떠안은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캐나다 밴쿠버 역시 적자를 피하지 못했다. 개막 직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2200만 달러를 지원받아야 했을 정도로 예산 부족에 시달렸던 밴쿠버는 경기 후 최소 10억달러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0개에 달하는 나라들이 참가하는 하계올림픽과는 달리 동계올림픽 참가국은 80여개국에 그쳐 흥행에 어려움이 따른다. 기업들의 올림픽 후원 규모도 하계올림픽의 3분의 1 수준으로 수익성이 낮다. 무엇보다도 막대한 비용을 들여 지은 경기장, 선수촌, 미디어빌리지 등의 시설들이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개최도시의 적자폭을 지속적으로 넓혀가는 경우가 많다.
현재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13개 경기장 중 7개만이 완공된 상황. 평창은 5,264억원을 들여 나머지 6개 경기장을 지을 계획이다. 이밖에도 선수촌, 미디어빌리지, 올리픽 본부, 미디어 센터 등 올림픽 관련 시설에 투입되어야 하는 비용은 2조원에 달한다.
평창은 강릉시에 건설되는 일부 경기장의 경우 올림픽 개최 후 시민체육 시설로 전환하고 아이스하키센터의 경우 원주로 이전 개축해 사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경기장 활용 변경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 맞춰 지은 국내 10개 월드컵 경기장 가운데 서울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크고 작은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 그 예다. 새롭게 지어지는 1만실 규모의 미디어빌리지를 비롯해 선수촌 활용도 문제다.
최문선 도지사는 비용 절감 및 사후 활용을 고려해 "쓸데없는 건물들을 많이 짓지 않겠다"면서 "공연히 건축물만 많이 만들어서 나중에 쓰지 못하고 텅텅 비고 유지비만 드는, 그런 운영은 하지 않도록 지금부터 치밀하게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계획 단계부터 철저한 사후 활용 계획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평창도 적자 올림픽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