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대구 중구 동성로 소재 대구한일CGV 앞에서 열린 '민생회복 법치수호 대구 국민대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가 연설하고 있다. 대구=이은지 기자 "사과하면 국민의짐, 싸우면 국민의힘." 국민의힘이 28일 자당의 '텃밭'인 대구에서 개최한 '민생회복 법치수호 국민대회'에서 가장 자주 눈에 띈 피켓 문구다. 12·3 불법 비상계엄 1년이 목전에 다가오며 거세진 '계엄 사과' 압박을 강성 지지층이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풍경이었다.
북과 확성기, '윤 어게인(YOON Again)' 깃발을 동원한 일부 지지자들의 외침은 종종 행사 진행을 방해할 정도로 위협적이었다. 극우커뮤니티 회원들은 친한(親한동훈)계로 분류되는 지도부 인사를 향해 극단적 반감을 표출하기도 했다.
강력한 대여투쟁을 강조해온 장 대표는 "책임을 통감한다"며 이번 전국순회 집회에서 '계엄'을 처음 입에 올렸다. 다만, 여전히 근본적인 책임은 여당에 돌리면서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 영장심사와 맞물려 기로에 선 국민의힘의 딜레마가 여과 없이 노출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어게인' 깃발 들고 "계엄사과 반대" 외친 강성 지지층
28일 대구에서 국민의힘이 연 당정 규탄 집회에는 '사과하면 국민의짐', '윤 어게인(YOON AGAIN)!' 등의 문구가 새겨진 피켓이 자주 눈에 띄었다. 대구=이은지 기자
당초 이날 집회는 지도부가 '이재명정권을 향한 민생레드카드'란 주제로 이어가고 있는 '릴레이 규탄대회'의 꽃이었다. 당 의원 과반의 지역구인 영남, 그 중에서도 대구 한복판인 동성로에서 열린 행사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의 '투톱'인 송언석 원내대표가 갑작스런 민주당과의 원내지도부 회동으로 국회에 남게 됐고, 대구시당위원장인 이인선 의원도 부상으로 자리를 비우면서 의도치 않은 공백이 생겼다.
실제로 당 지도부 외 현장을 지킨 현역 의원은 주호영 국회부의장과 강대식·권영진·김상훈·김기웅·김승수·유영하·윤재옥·이달희·이만희 의원 등 10여 명 남짓이었다. 지역구 때문에라도 불참이 어려운 인사들이 많았다는 뜻이다.
당일 오후 4시쯤부터 1시간여 진행된 집회 내내 '존재감'을 과시한 것도 대체로 강성 당원들이었다. 이들은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파'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김용태 의원의 얼굴에 엑스(X) 자가 그려진 팻말을 드는가 하면,
"계엄 사과 반대!"를 대놓고 연호하기도 했다. 일부는 '윤 어게인' 및 '리셋 코리아(Reset Korea)'가 새겨진 피켓을 들고, 윤 전 대통령 지지를 노골적으로 표시하는 모습도 관찰됐다.
친한계인 우재준 청년최고위원(대구 북구갑)이 마이크를 잡자, '청년우파 커뮤니티' 깃대를 든 청중들이 "내려가!"를 거세게 외치는 장면도 포착됐다. 이에 우 의원은 "저를 비판하는 분들이 누구보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이 나라의 민주주의를 옳은 방향으로 가게 하려고 하는 분들이라 생각한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3분 만에 쫓기듯 무대를 내려가야 했다.
현역 최다선인 주호영 의원까지 나서서 이들을 향해 "여러분이 이 집회를 잘 되게 도와주셔야 한다"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고성과 막말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었다.
장동혁 "책임 통감"한다 했지만…방점은 '사과' 아닌 '투쟁'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를 나타낸 강성 지지자들의 모습. 대구=이은지 기자'대구 집회'가 주목받은 배경엔 또 하나의 이유가 있다. 최근
국민의힘 내에서 봇물처럼 잇따른 '계엄 사과' 요구 때문이다.
김용태·김재섭 등 일부 초·재선 의원들은 내달 3일 '계엄 1년'을 맞아 장동혁 대표가 책임 있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집회 당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또한 "(내년 지방선거에서) 중도층의 마음을 얻으려면 조만간 계엄 1주년 즈음에 사과해야 한다"고 거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딱히 뾰족한 입장을 내지 않았던
장 대표는 이날 계엄을 소극적으로 언급하긴 했다. 다만, 직접적인 사태의 원인은 민주당 측에 전가했다.
'반성'보다는 '투쟁'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장 대표는 약 20분에 걸친 연설 말미에 "작년 계엄을 통해 민주당의 무도함이 드러났다"며 "민주당의 의회 폭거와 국정 방해가 결국 계엄을 불러왔다"고 말했다. 또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많은 국민들께 혼란과 고통을 드렸다. 충성스러운 군인들이 재판정에서 시련을 겪고 있고, 민주당의 무모한 '적폐몰이'로 사찰을 위협받는 공무원들도 있다"며
"저는 그 책임을 무겁게 통감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연이어 "이 모든 게 우리 당이 제대로 싸우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계엄의 강'을 건너지 못한 것보다, 탄핵 찬반 등에 따른 '사분오열'을 패착으로 보는 시각도 읽혔다. 장 대표는 "계엄도, 탄핵도 막지 못했고 '이재명정권 탄생'도 막지 못했다. '내란몰이'와 '민생 파탄'으로 1년이 지나고 있는데도 여전히 흩어져 이재명 독재를 막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추 전 원내대표의 영장을 반드시 기각시켜야 한다"며 "하나로 똘똘 뭉쳐서 '이재명 독재'에 맞서 싸우자"고 덧붙였다.
당 지도부 중 가장 강성으로 평가되는 김민수 최고위원도
"국민의힘이 싸우지 않는 것은 또다시 불의에 굴복하는 것"이라며 계엄사과 요구를 일축했다. 그는 "'싸우지 마라', '사과해라', 이 말 하기 전에 단 한 번이라도 이 자리에 나와 같이 싸워야 되지 않겠나"라며 현 지도부 노선을 비판하는 소장파를 에둘러 비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