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조 바이든 전 대통령을 '슬리피(sleepy·졸린) 조'라고 조롱해오던 도널드 트럼프(79) 미국 대통령이 최근 공식 석상에서 꾸벅꾸벅 조는 모습을 보이거나 공개 일정 시간이 전보다 짧아지는 등 노화의 현실에 직면했다는 징후가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계속 올리고, 기자들과 전투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격렬한 연설을 하면서 정력과 에너지를 과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노화로 인해 이런 '에너자이저' 같은 이미지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고 보도했다.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비만약 가격 인하 발표 일정에서 눈이 거의 감은 모습을 보였다. 어느 순간에는 잠깐씩 졸고 있는 것 같았고 또 어느 순간에는 눈을 뜨고 자신을 지켜보는 기자들을 쳐다보기도 했다.
취임 당시 기준으로 역대 최고령인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 횟수가 줄어들고, 그 시간도 짧아졌다.
NYT 집계에 따르면 2기 취임일인 지난 1월 20일부터 이날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1029건의 공식 행사에 참여했다.
이는 1기 취임 직후 같은 기간인 2017년 1월 20일부터 11월 25일까지 1688건의 공식 행사에 참석했던 것과 비교하면 그 건수가 39% 줄어든 것이다.
공식 행사 시간도 짧아졌다.
정치 정보 제공 사이트 '롤콜'의 공식 대통령 일정 분석 결과에 따르면 1기 첫해인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행사 평균 시작 시각은 오전 10시 31분이었는데, 2기에는 평균 낮 12시 8분이었다. 행사 종료 시각은 2017년과 올해 모두 비슷한 오후 5시 직후로 나타났다.
NYT는 2017년과 비교해 올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이동은 훨씬 줄었고 대신 해외 방문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올해 그의 해외 출장 횟수는 8회로, 2017년의 4회의 2배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건강 관리와 관련해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작년 대선 기간 자신보다 3.5살 많은 전임 바이든 대통령을 고령이라고 공격해왔지만, 그 또한 노화를 피해 갈 수 없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고령과 부실한 체력을 이유로 '슬리피 조(Sleepy Joe)'라고 비아냥대기도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질문에 바이든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건강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