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李국정 긍정 59.5%…"외교·통상·검찰개혁 성과"[KSOI]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정 수행 평가 3주 연속 회복 흐름

분야별 성과 평가에서 '외교·안보' 1위

아프리카·중동 4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환영나온 김민석 국무총리,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등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아프리카·중동 4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환영나온 김민석 국무총리,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등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긍정 평가가 59.5%로 나타났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6일 발표됐다. 이재명 정부 출범 6개월을 앞두고 실시된 분야별 평가에서는 외교·경제·사회 전반에서 특정 성과가 뚜렷하게 꼽혔다는 분석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24~25일 이틀간 통신 3사 제공 무선 가상번호를 활용해 전국 18세 이상 1008명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59.5%로 집계됐다. '잘 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36.6%였다.

직전 조사 대비 긍정 평가는 4.0%p 상승했고 부정 평가는 3.2%p 하락해 3주 연속 회복 흐름을 이어갔다.

연령대별로는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긍정 평가가 과반으로, 특히 60대와 70세 이상에서 각각 12.2%p, 8.8%p 상승했다. 지역별로도 모든 권역에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앞섰고, 지난 조사에서 부정 평가가 우세했던 대구·경북에서도 긍정 평가가 48.9%로 반등했다.

다음달 4일 정부 출범 6개월을 맞아 시행된 분야별 성과 평가에서는'외교·안보'(27.0%), '경제 회복'(19.4%), '내란세력 척결'(6.1%), '국민 통합'(5.5%), '복지·노동'(4.8%) 순으로 '잘하고 있다'고 조사됐다.

경제 분야에서는 '통상 리스크 해소'가 2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15.3%)와 '내수경제 활성화'(15.3%), 'KOSPI 4,000 돌파'(11.2%)가 뒤를 이었다. 반면 '성과가 없다'는 응답도 28.0%에 달해 20대와 30대, 보수층에서 부정적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5일(현지시간) 앙카라 한국공원을 찾아 한국전 참전 기념탑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튀르키예를 국빈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5일(현지시간) 앙카라 한국공원을 찾아 한국전 참전 기념탑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교 분야에서는 '글로벌 리더 위상 확보'가 23.1%로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됐다. 이어 '한미 안보협력 강화'(20.6%), 'AI·방산 중심 실용외교'(15.7%), '한중·한일 관계 개선'(8.2%) 순이었고, '성과 없음' 응답은 24.6%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이상과 진보층이 '위상 강화'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20~30대와 보수·중도층은 '한미 안보협력 강화'를 더 높게 꼽았다.

사회 분야에서는 '검찰개혁' 응답이 31.8%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산업현장 집중 감독'(11.9%), '지역균형발전'(9.5%), '주택시장 안정화'(6.6%)가 뒤를 이었다. 검찰개혁은 성별·연령·지역·이념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성과로 꼽힌 반면, 주택시장 안정화는 20대(3.2%)와 30대(5.8%)에서 크게 낮게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있다. G20 조직위 제공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있다. G20 조직위 제공
KSOI는 "국정 수행 긍정 평가 상승에는 APEC 정상회의, 한미 무역협정 타결에 이어 중동 순방, G20 정상회의 참석 등 '국익 중심 실용외교'와 AI, 방산, 원전 등 '세일즈외교' 성과가 지속된 점이 가장 크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예산안 심사, 국민의힘의 장외 투쟁 등 정치적 이슈와 KOSPI 지수 4000선 회복 여부, 환율 흐름 등 경제적 요인이 국정 운영 지지율 변화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ARS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5.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