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 골프. 충남도 제공세종 호수중앙공원 파크골프장 조성을 두고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시민단체의 반발 속에 "결정된 게 없다"는 세종시의 해명과 다르게 해당 사업이 시장 지시로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됐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이순열 세종시의원은 25일 열린 시의회 102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설관리공단은 올해 8월부터 '시장님 지시 및 관심 사항'이라는 별도의 보고 체계를 통해 중앙공원 일대를 파크골프장으로 재구조화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8월 확대간부회의에서 '파크골프의 진수를 만들면 괜찮겠다'는 시장의 발언 이후 시설공단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며 "세종지역 파크골프 회원 비율이 충청권에서 가장 낮다는 근거가 있었지만, 이미 결론을 정해 놓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행정 왜곡을 실행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중앙공원은 세종시 건설 초기부터 장기적인 비전 아래 조성된 모두의 자산"이라며 "이곳에 특정 단체를 위한 36홀 파크골프장을 밀어 넣는 것은 '표 받기용 정치 행위'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공원의 공공성과 균형적 이용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시민단체는 공공성 훼손을 이유로 해당 사업을 반대하고 있다.
앞서 세종 참여자치시민연대는 세종시설관리공단이 중앙공원에 추진 중인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세종 참여연대는 성명을 통해 "중앙공원은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녹지공간이자 생태·휴식 공간"이라며 "조성 완료된 기존 공원 한복판을 특정 동호인의 운동시설로 바꾸는 것은 공원의 개방성과 접근성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파크골프 경기 중 일반 시민의 통행이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공원의 단절·이용자 간 갈등을 불러올 것이 뻔하다"며 "파크골프장 잔디 관리 과정에서 농약 사용 등 생태 교란 요소가 동반될 가능성도 높다"고 짚었다.
세종 참여연대는 "공원은 모두를 위한 쉼터로 남아야 한다"며 "잘못된 행정은 파크골프 이용자들과 시민 간 갈등을 일으켜 오히려 사회적 손해를 가져올 수 있다" 말했다.
세종시설관리공단은 중앙공원 한복판에 있는 파빌리온 구역에 36홀 규모 파크골프장을 만들기 위한 기본 계획을 구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