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과제 숙박난, 새만금 '해상 호텔'로 푼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크루즈 1척당 최대 3천명 수용
호텔 신축 대비 경제성·환경성 탁월
리우 올림픽·카타르 월드컵 등 성공 사례
새만금 신항만 22만 톤급 접안 가능
서해안 해양관광 허브 도약 기대

두바이 크루즈 호텔. 코스타 크루즈 홈페이지 캡처두바이 크루즈 호텔. 코스타 크루즈 홈페이지 캡처
전북자치도가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핵심 과제인 숙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만금 신항만을 활용한 '크루즈 숙박' 카드를 꺼내 들었다. 대형 크루즈선을 '해상 호텔'로 활용해 대규모 숙박 수요를 충족하고, 대회 이후 활용도가 떨어지는 시설 낭비를 막겠다는 전략이다.
 
전북자치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이드라인이 요구하는 숙박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새만금 신항만에 크루즈 숙박시설을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크루즈 활용은 단기간에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10만 톤급 크루즈 1척당 1천~3천 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어, 호텔 신축에 비해 즉각적인 숙박 공급이 가능하다.
 
크루즈 도입은 경제성과 환경성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호텔을 새로 짓는 건설 비용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대회 종료 후 유지비나 철거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다.
 
특히 올림픽 이후 활용도가 떨어져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숙박시설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토지 훼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대회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새만금 신항 조감도. 전북도 제공새만금 신항 조감도. 전북도 제공 
경제적 파급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결과에 따르면, 크루즈 관광객 1인당 1회 기항 시 평균 96달러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당 2천명이 승선해 연간 10회 기항한다고 가정할 경우, 직접 지출 연간 약 27억 원, 간접 효과까지 포함하면 100억 원 수준의 경제적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 대형 국제행사에서 크루즈를 숙박시설로 활용한 사례는 다수 존재한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서는 크루즈 4척을 정박시켜 약 1만 명의 숙박 해결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또한 도하항에 크루즈 호텔 3척을 운영해 1만 개의 객실 공급했다.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도 선수촌 활용 방안으로 크루즈 도입 추진 중 이다. 가깝게는 경주 APEC 정상회의도 기업인 대상 '선상호텔' 크루즈 2척 운영했다.
 
인프라 여건도 충분하다. 2026년 개항 예정인 새만금 신항만은 선석 길이 430m, 수심 14m 규모로 조성되어 22만 톤급 초대형 크루즈선의 접안이 가능하다. 이는 인천 크루즈터미널(수심 12m)보다 유리한 조건이다.
 
또한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개통으로 대회 현장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고군산군도, 부안 채석강 등 인근의 풍부한 관광 자원과 연계해 해양관광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 고군산군도. 전북도 제공전북 고군산군도. 전북도 제공
새만금개발청은 이를 위해 지난달 홍콩의 글로벌 해운서비스기업 월렘 그룹(Wallem Group)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크루즈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크루즈 활용은 단순한 숙박 해결을 넘어 하계올림픽 유치와 서해안 크루즈 허브 구축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새만금 해양도시 브랜드 강화와 지역 해양관광 산업 활성화라는 다층적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새만금 신항 조감도. 전북도 제공새만금 신항 조감도. 전북도 제공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