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북, 도심 속에 '탄소 먹는 정원' 만든다…산림청 공모 선정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북연구원 부지에 '탄소플러스 정원'
총 42억 원 투입…2027년 완공
연간 1823톤 탄소 감축 효과, 소나무 20만 그루

'도심형 탄소플러스 복합공간 조성사업' 부지인 전북연구원 조감도. 전북도 제공'도심형 탄소플러스 복합공간 조성사업' 부지인 전북연구원 조감도. 전북도 제공
전북자치도가 도심 속 유휴부지를 활용해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도심형 기후대응 모델' 구축에 나선다.

전북도는 산림청이 주관한 '도심형 탄소플러스 복합공간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국비 22억 3천만 원을 확보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주시 완산구 콩쥐팥쥐로에 위치한 전북연구원 부지에 총 42억 8천만 원(국비 22.3억, 지방비 20.5억)을 투입해 '탄소플러스 정원'과 '탄소중립 교육홍보관'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사업 기간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다.
 
새롭게 조성될 '탄소플러스 정원'은 단순한 녹지 공간을 넘어 과학적인 탄소 저감 기술이 접목된다. 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난 수종을 심고, 바이오차(Biochar)를 활용해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을 높인다. 건물에는 수직·옥상 정원 등 저탄소 녹화 기술이 적용된다.

함께 건립되는 '탄소중립 교육홍보관'은 목조 구조물로 지어져 그 자체로 탄소 저장을 실천하며, 시민들에게 정원문화 교육과 탄소중립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전북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간 약 1823톤의 탄소 감축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소나무 약 20만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양이자, 승용차 2279대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아울러 같은 부지에서는 노후 시설을 철거하고 목재를 활용해 짓는 전북연구원 청사 신축(총 180억 원 규모)도 병행되고 있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전북도 송금현 환경산림국장은 "이번 사업은 정원과 탄소중립이 결합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전환점"이라며 "시민참여형 정원 문화를 확산하고 환경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