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제공BNK금융그룹이 한국ESG기준원(KCGS)의 2025년 ESG 평가에서 4년 연속 통합등급 A를 받으며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서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확인했다. 사회(S) 부문에서는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해 금융권 최고 수준의 평가를 유지했다.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은 21일, KCGS가 발표한 '2025년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통합등급 A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사회 부문 A+ 등급은 BNK가 지역밀착 금융기관으로서 추진해온 지역상생, 금융소비자 보호, 포용금융 확대 등의 노력이 실질적 성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BNK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상품 제공, 사회적 약자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포용금융 정책 기조에 발맞춰 왔다. 이와 함께 산업재해 예방 활동 강화 등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올해 본격 추진하는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사업은 지역의 미래산업과 금융을 연결하는 BNK의 대표 ESG 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BNK는 글로벌 금융사 ING와 MOU를 체결해 해상풍력·신재생에너지·선박금융 등 지역 핵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속가능 해양금융 모델을 확대하고 있다.
환경(E) 부문에서도 BNK는 2년 연속 A+ 등급을 유지했다.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 고도화,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 SBTi 기반 감축목표 설정 등 기후 대응 체계를 강화해 왔다.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 기반의 자연자본 리스크 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며 환경 리스크 관리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지배구조(G) 부문은 이사회 중심의 의사결정 체계 강화, 내부통제와 준법경영 고도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경영 체계 확립 등을 통해 A등급을 유지했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사회 부문 3년 연속 A+는 금융권 최고 수준의 성과이자 지역 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결과"라며 "앞으로 지역형 생산적 금융을 ESG 실증 사업으로 확장하고, ING와 협력해 BNK형 지속가능 해양금융 모델을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