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동취재단수험생 사이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지목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는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게시판에 쓴 글에서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국어 17번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다.
이 문항은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한 뒤 이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답을 고르도록 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3번인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이다.
그러나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은 옳기에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제시된 지문을 보면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나온다.
그런데 스캔 프로그램으로 의식이 재현되면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하지만 입시업계에서는 평가원에서 정답이 바뀔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대표는 "국어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봤을 때, 이 교수의 주장은 어느 정도 일리는 있지만 수험생 입장에서 수능 국어 영역의 본질적 특성에서 너무 깊이 들어간 해석일 수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또 "지문 내용을 보고 정답을 찾는 데 있어서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덧붙였다.
임 대표는 "평가원에서 이 교수의 주장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희박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국어 17번의 문항별 선택률은 EBS 기준으로 3번이 37.2%로, 국어 영역 오답률 순위 5위였다.
평가원은 지난 17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 내용에 대한 심사를 거쳐 25일 오후 5시에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