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3분기 대외채무 25억弗 증가…외채건전성 지표는 개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정부 "대외채무 증가, 外人의 채권 순투자 증가 반영 결과"

연합뉴스연합뉴스
올해 3분기 한국의 대외채무가 소폭 증가했다. 다만 순대외채권은 증가하고 단기외채 관련 지표도 개선되는 등 전반적으로 대외건전성 지표가 다소 개선됐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3/4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대외채무는 7381억 달러로 2분기말(7356억 달러) 대비 25억 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 보면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616억 달러로 2분기말 대비 54억 달러 감소했고,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5765억 달러로 79억 달러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외국인의 회사채 투자 등 기타부문(비은행권·공공·민간기업, +90억 달러)을 중심으로 외채가 증가한 반면, 정부(-32억 달러), 중앙은행(-12억 달러), 은행(-21억 달러) 부문은 감소했다.

이처럼 대외채무가 증가한 데 대해 기재부는 외국인 등 비거주자의 채권에 대한 순투자가 증가한 점을 반영했다고 봤다. 실제로 3분기 동안 상장채권에 대해 외국인 자금이 3조 2천억 원 유입됐다.

대외채권은 거주자의 해외 채권 투자와 외화 예치금 증가 등으로 2분기말(1조 928억 달러) 대비 271억 달러 증가한 1조 1199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의 차이인 순대외채권은 3818억 달러로 2분기말(3572억 달러) 대비 246억 달러 증가했다.

한편 단기외채/총외채 비중은 2분기 22.7%에서 3분기 21.9%로, 단기외채/외환보유액 비율은 2분기 40.7%에서 3분기 38.3%로 하락하는 등 건전성 지표는 개선됐다.

외채 등에 대한 국내은행의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Liquidity Coverage Ratio)은 3분기말 기준 160.4%로 규제비율인 80%를 크게 상회했다.

정부는 "글로벌 통상환경 및 통화정책 변화, 주요국 증시 변동성 확대 등 대외여건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우리 경제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대외건전성 유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