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상공에서 바라본 모습을 가상으로 제작한 도식도. 국가유산청 제공서울 종묘 앞 개발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네스코가 강력한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17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유네스코로부터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았다"면서 "외교 문서이자 공식적인 문서"라고 말했다.
허 청장은 "유네스코 측은 세운4구역의 고층 건물 개발로 인해 세계유산인 종묘가 훼손될 것을 우려한다고 명시하며 영향평가를 반드시 받도록 권고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세계유산영향평가와 관련해 "세계유산센터와 자문기구의 긍정적인 검토가 끝날 때까지 사업 승인을 중지할 것"을 명시했다고 밝혔다.허 청장은 "유네스코 측은 제삼자에 의한 민원이 접수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의견과 추가 정보를 한 달 내에 회신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는 최근 "한국 시민이 자랑스러워하는 종묘의 경관이 위태로워지고 있다"며 유네스코 본부에 유산영향평가를 위해 방한해달라는 서한을 발송했었다.
허 청장은 "세계유산영향평가는 전 세계의 세계유산협약 당사국들이 유네스코 지침에 따라 준수·이행하는 국제 수준의 보존관리 제도"라면서 "보다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국내법적 기반을 강화하고, 법령 개정도 적극적으로 관련 부처와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시가 세계유산영향평가라는 절차를 통해 종묘의 유산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주민 불편을 조속히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을 도모해달라"면서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조정 회의 구성을 서울시에 제안했다.
종묘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 사당으로 1995년 12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