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청사 전경. 광주시의회 제공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둘러싼 광주광역시의회 내부 논쟁이 다시 뜨겁게 달아올랐다. 호남권의 항공 접근성이 사실상 끊긴 가운데 시의원들이 각각 찬성과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고, 지역 여론에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광주광역시의회 더불어민주당 강수훈 의원은 17일 열린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무안국제공항 참사 이후 호남의 하늘길이 최소 수년간 단절될 수 있다"며 "국토교통부가 정상화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사고 조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이동권·관광·경제활동 전반에서 호남이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기능을 임시로 부여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같은 당의 박수기 의원은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의 임시취항 추진을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국토교통부가 이미 불허 입장을 명확히 한 사안에 근본 여건 변화 없이 동일 요구를 반복하는 것은 행정의 신뢰를 스스로 훼손하는 것"이라며 "군공항 이전 TF 가동을 앞둔 시점에서 임시취항 추진은 전남도와 무안군과의 신뢰를 흔드는 조급한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주장이 나오자 시민단체인 광주공항 국제선 부활 시민회의가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단체는 박 의원의 비판에 대해 "수개월째 해외여행 수요가 묶여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 발언으로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임시취항은 가장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해법"이라고 반박했다.
국토교통부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에 대해 수용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이처럼 시의회 내부에서도 해법을 두고 온도차가 드러나면서 논쟁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