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호. 여수시 제공 전남 여수~거문도를 오가는 뱃길이 적자 보전 등의 문제로 또다시 끊길 처지에 놓인 가운데 섬 주민들의 한숨만 커지고 있다.
수년간 같은 문제가 반복되면서 '어디든 갈 수 있는 섬, 여수가 책임진다'는 정기명 여수시장의 구호가 무색해진 모양새다.
여수시의회 박성미 의원은 11일 제252회 시의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민간 선사가 여수~거문도 항로 운항 포기를 시사하며 호소문과 진정서를 전달했다"며 "이제는 여수시가 직접 선박을 확보하고 직접 운항하는 완전한 공영제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여수와 거문도를 오가는 쾌속선 하멜호 측이 최근 경영난을 이유로 여수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한 데 따른 입장이다.
선사 측은 지난해 7월 취항 이후 여수시가 협약을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협약과 달리 감가상각비 10억 원을 받지 못한 데다 이차보전금이 운항결손액에 포함되면서 17억 원만 지원됐다는 내용이다.
선사 측은 운항결손금 보상 또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매월 1억 원이 넘는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며 개선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다음달 15일부터 운항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반면, 여수시는 지원 기준과 협약에 맞춰 지난해에만 감가상각비 9억 8천만 원, 운항손실보전금 6억 등 18억 원의 가량을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선사 측의 주장과는 달리 운항결손액에 이차보전금과 감가상각비가 포함돼 이를 별도로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여수시와 선사 측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애꿎은 시민들만 불편을 겪게 될 처지에 놓였다.
애초 여수시의 해상교통 정책이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성미 의원은 "섬 주민의 이동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TF팀 등 여수시가 공영제 실현을 위한 실행 체계를 즉시 가동해야 한다"며 "당장 공영제로 전환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여수시가 과연 못해서 안 하는 것인지, 안 해서 못하는 것인지 이제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