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장동혁 '李탄핵' 초강수에…당내 일부 갸웃하는 까닭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장동혁 "국정조사·특검 통해 李대통령 탄핵해야"

소수야당 한계에 막힌 현실은…거대여당은 '탄핵' 공세에도 시큰둥
'항소 포기' 공세 최전선 선점한 한동훈…"당 메시지가 묻힌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검찰의 대장동 개발 비리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규탄대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검찰의 대장동 개발 비리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규탄대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
이재명 대통령 임기 5개월 만에 제1야당 대표가 '탄핵'을 주장하고 나섰다.

소수야당의 현실을 감안하면 검찰의 대장동 일당 항소 포기 사태를 따져 묻기 위한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많지만, 당내에선 초강수를 조기에 써 버리면서 앞으로 동원 가능한 카드가 바닥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사태에서 그동안 국민의힘 지도부의 역할이 비교적 부각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초강수를 통해 당장의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혹평도 나왔다.

장동혁 "국조로 '윗선' 증명되면 李 탄핵"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11일 대검찰청 앞 규탄대회에서 "엉망으로 망가지는 대한민국을 구할 방법은 딱 하나"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자리에서 내려오게 하는 것뿐이다. 국정조사와 특검을 통해 이재명을 탄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대표가 그동안 '탄핵 사유'라거나 어떤 전제를 들어 '탄핵 대상'이라고 표현한 적은 있었지만 탄핵해야 한다는 주장을 명시적으로 밝힌 건 정권 교체 후 처음이다.

물론, 공식 회의나 연단보다 장외에서 규탄사를 외치다 보면 통상 발언이 거칠어지기 마련이다. 장 대표도 이날 오후 취재진이 '대통령 탄핵'을 다시 묻자 "대통령의 책임이 있는지는 국정조사, 특검을 실시해야 한다"며 수위를 낮췄다.

이와 관련, 복수의 장 대표 측 관계자는 이 발언의 방점이 '탄핵'보다 '국정조사'에 찍혀 있다고 주장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국정조사에서 윗선 또는 이 대통령 지시가 드러날 경우 탄핵으로 가겠다는 것"이라며 "그 다음 단계로 가기 전에 무조건 국정조사를 관철시키려 한다"고 설명했다.

당의 다른 관계자도 "강한 워딩을 통해서라도 사안의 심각성을 국민에 알리고, 지지층과 중도층의 시선을 끌 필요가 있다"면서 "민주당도 '할 테면 한번 해 봐' 이런 식이니까 장 대표로서는 조금 더 격하게 나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거대여당은 시큰둥

문제는 말과 현실의 간극이다. 현재 국민의힘 의석(107석)만으로는 대통령 탄핵(200석)은 물론 장관 탄핵(150석) 등을 소추하기 역부족이다. 제1야당 대표의 탄핵 주장이 당 안팎에서 뜨뜻미지근하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다.

그런 탓에 여당에서도 지도부 차원의 즉각적 대응보다는 원외 대변인 논평 수준으로 받아칠 뿐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박경미 대변인 명의 논평에서 장 대표 발언을 "정쟁을 위한 극단적 언어폭력"이라고 깎아내렸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전략적 미스'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당의 또다른 관계자는 "항소 포기 직후 장 대표 메시지는 타이밍도 늦었고 내용도 뜨뜻미지근했다"며 "사흘 지나 갑자기 '이재명 탄핵'으로 급발진해버리면 빌드업이 전혀 안 된 채 오버하는 느낌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탄핵은 정치의 영역인 만큼, 먼저 특검·국정조사로 최대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범위부터 차근차근 가야 한다"며 "그런데 '대통령 탄핵'이 나와 버리면 넓게 지지받을 수 있는 부분을 다시 좁히는 효과가 있다. 순서가 꼬였다"고 평가했다.

최전선에 한동훈?…존재감 의식했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윤창원 기자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윤창원 기자
일각에서는 장 대표가 보수진영 내 존재감 과시를 위해 조급했던 것 아니냐는 의심도 나온다.

수도권 지역 한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으로는 탄핵소추안 발의도 어려울 것"이라며 "다만 이런 발언에 '시원하다'고 느끼는 지지층에 소구할 메시지를 준비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친한동훈계 한 의원의 경우 "한동훈 전 대표가 이슈를 선점했기 때문에 장 대표로서도 존재감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장 대표가 하필 이 무렵 광주에 방문하고, 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환히 웃는 사진을 노출해 강성 지지층이 갸웃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반작용으로 강경 메시지를 택한 것"이라고 봤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