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장동혁 돌아가라" 격렬 저항에 묵념만 하고 돌아선 장 대표[영상]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장동혁 대표, 6일 취임 후 첫 5·18 묘지 참배 시도
광주·전남촛불행동, 장 대표 도착 전부터 규탄 회견
장 대표 도착하자 한국대학생진보연합 학생들 길목 막아 저지
장 대표, 헌화소까지 도착했지만 5초 묵념 후 돌아서

6일 오후 1시 50분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시민단체의 저항에 부딪혀 5·18민주묘지에 참배하지 못하고 5초 묵념 이후 돌아가고 있다. 한아름 기자6일 오후 1시 50분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시민단체의 저항에 부딪혀 5·18민주묘지에 참배하지 못하고 5초 묵념 이후 돌아가고 있다. 한아름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시도했으나 시민단체의 격렬한 저항에 막혀 '묵념'만 한 뒤 돌아서야 했다.
 
6일 오후 1시 40분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양향자 최고위원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국립 5·18민주묘지에 도착했다.
 
앞서 1시간 전부터 기자회견을 열고 있던 광주·전남촛불행동(촛불행동) 소속 회원과 한국대학생 진보연합 소속 학생 20여 명은 입구를 막아서고 장 대표의 참배를 규탄하고 나섰다.

촛불행동 회원들은 "비상계엄으로 내란을 일으키려 했던 윤석열과 그 충직한 오른팔인 국민의힘이 어떠한 사과나 반성도 없이 광주를 방문해 민심을 운운하는 것이 치가 떨린다"고 외쳤다.

경찰은 장 대표와 당직자들이 민주의 문을 지나 참배를 할 수 있도록 길을 텄지만 격렬한 저항은 계속 이어졌다. 이로 인해 장 대표는 방명록도 작성하지 못했다.
 광주·전남 촛불행동 회원들이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5·18민주묘지 참배를 막으려 길목에 앉았다가 경찰에 저지당하고 있다. 한아름 기자광주·전남 촛불행동 회원들이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5·18민주묘지 참배를 막으려 길목에 앉았다가 경찰에 저지당하고 있다. 한아름 기자
장 대표와 지도부가 충혼탑 앞 헌화소로 가는 과정에서 촛불행동 회원들이 장 대표에게 거세게 항의하면서 양 측간 몸싸움이 벌어졌다.
 
장 대표를 막으려는 시민단체 회원들과 이를 저지하려는 경찰, 취재진이 한데 뒤엉켜 취재진 등이 넘어지고 휴대전화를 비롯한 소지품이 나뒹구는 등 한 때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장 대표와 지도부는 인파를 뚫고 충혼탑 앞 헌화소까지 도착했으나 촛불행동 회원들의 저항에 결국 헌화하지 못하고 돌아섰다. 장 대표는 5초 정도의 짧은 묵념으로 묘지 방문을 마무리했다.
 
장 대표가 묵념을 마치고 돌아서는 길에도 촛불행동 회원들과 국민의힘 당직자 사이 또다시 몸싸움은 계속 이어졌다.
 
일부 회원들은 추모탑 앞에 놓인 장 대표의 화환과 명패를 쓰러트리기도 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1시 40분쯤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경호원과 경찰의 안내를 받으며 충혼탑으로 걸어가고 있다. 한아름 기자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1시 40분쯤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경호원과 경찰의 안내를 받으며 충혼탑으로 걸어가고 있다. 한아름 기자
회원들은 "국민의힘이 광주를 방문하고 5·18민주묘지를 참배한 후 달라진 것이 있었느냐"며 "오로지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사를 뽑아내기 위해 일회성으로 광주를 왔던 것을 모르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장동혁은 국회 입성 전 판사로 근무하면서 전두환 재판에 특혜를 부여한 데다 계엄에 동조하고 윤석열 면회를 했다"면서 "그야말로 내란에 대한 죄책감도 없는 자"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장 대표는 민주묘지에 도착한 지 약 15분 만에 다시 버스에 올라탔다.
 
한편 지난 5월 한덕수 전 국무총리도 대선 출마 선언 후 5·18민주묘지 참배를 시도했지만 '내란 동조 세력'의 참배를 반대하는 시민들의 항의 시위로 발길을 돌린 바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