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강서구 생곡매립장 전경. 부산시 제공부산 강서구에 하루 800t 처리 규모의 대형 소각장을 지으려던 부산시의 계획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제동이 걸렸다. 시민단체는 주민 기피 시설인 만큼 사업 초기부터 주민 의견 수렴과 설득 과정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산시는 하루 소각 용량 800t 규모의 소각시설이 포함된 부산 강서구 '생곡마을 자원순환 복합타운' 조성 사업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9월 부산시는 생곡마을 자원순환 복합타운 조성 사업과 관련한 건설공사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총사업비 4947억 원을 투입해, 강서구 생곡마을 5만 9434㎡ 부지에 하루 800t 용량 처리 규모의 소각시설을 짓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부산시는 강서구 명지소각장 폐쇄를 고려해 소각 용량을 400t에서 800t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난 2003년 준공된 명지소각장은 권장 사용 기한인 20년이 넘은데다, 명지신도시에 입주한 주민들이 2021년 이후 강하게 폐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부산 지역에는 용량이 큰 소각시설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생곡마을 주민 이주가 마무리된 뒤 명지소각장을 대체할 대규모 소각장을 새로 짓겠다는 계획이었지만, 강서구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주민들은 "소각장에서 에코델타시티에 있는 아파트까지 최단 직선거리 2.3㎞밖에 되지 않는다"며 "대규모 소각시설로 공기질을 비롯한 환경에 큰 피해를 보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 부산의 쓰레기 매립·소각시설을 비롯한 기피 시설을 모두 강서구에 집중시키려 한다며 생곡소각장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에 지역 정치권까지 반대에 나섰다. 지역구 국회의원인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은 지난달 31일 박형준 시장을 만나 강력하게 반대 의사를 표현했다. 박 시장은 "주민 반대가 심하다면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부산시는 주민 반대 의견을 고려해 사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부산시 관계자는 "수년 동안 추진해온 사업이기 때문에 주민 민원이 발생했다고 즉시 전면 백지화하기는 어렵다. 행정의 신뢰성과 행정력 낭비의 문제가 있다"며 "대체부지와 사업 방향성 등 모든 사안을 종합적으로 다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년 동안 추진해 온 소각장 신설 사업이 주민 반대로 제동이 걸린 가운데, 지역 환경단체는 대표적인 기피 시설인 만큼 일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협의와 설득 과정을 우선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박상현 부산환경연합 사무처장은 "소각장은 기피 시설이기 때문에 주민 수용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초기부터 필요한 이유, 시설의 영향 등에 대해 주민들과 소통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기준, 보상대책 등을 주민 의견을 수렴하며 촘촘하게 설계하면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