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제공관세청은 3일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리스트와 'HS(Harmonized Systems) 코드'를 최초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는 전자상거래 수출 지원을 위한 '수출 이(e)-로움' 정책의 하나로 이뤄졌다.
HS는 국제적으로 교역되는 상품의 관세부과, 통계수집,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서 통일된 분류를 위해 상품의 명칭을 숫자 코드와 연결해 만든 상품 분류표다.
관세청은 HS코드 공개로 수출기업이 자사 물품을 보다 쉽게 파악하고 정확하게 신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출기업이 세관에 신고하는 HS코드 10단위에는 특정 품목으로 분류되지 않는 나머지 상품을 통합한 '기타(other)' 항목이 많아 해당 코드만으로 상품의 세부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상위 분류인 HS코드 4단위와 6단위를 함께 공개해 유사 품목의 식별을 쉽게 하고, 분류 오류를 줄여 수출신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공개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은 실제 수출자료(지난해 수출신고·HS코드 10단위 품목·금액 기준)를 기반으로 선정됐다.
100대 품목은 K-뷰티, K-콘텐츠, K-패션 등 한류 소비재 인기에 힘입어 화장품, 음반, 의류, 전자기기, 식품 등이 주요 수출 품목군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대비 올해 9월까지의 순위 변화를 보면 패션 잡화, 생활용품, 유아용품 품목군의 순위 상승이 돋보였다. 반면 앨범, 신발류, 인삼제품, 담배는 순위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의 HS코드 공개는 수출신고에 정확성을 높이는 데 활용하는 것은 물론 국내 기업이 주요 전자상거래 수출 물품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해 품목별 수출 전략을 수립하고 해외시장 변화를 감지해 대응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