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삼양1963'을 공개하는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 김기용 기자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 기름)'를 사용한 라면을 내놨다. '불닭볶음면(불닭)'으로 비빔라면 시장에서 대성공을 거둔 삼양식품이, 프리미엄 국물라면 시장까지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열고, 60여 년 전 출시된 삼양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프리미엄 라면을 공개했다.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은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하던 진심의 재료이자, 삼양식품이 지켜온 정직과 진정한 맛의 상징이었다"며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으로, 한국의 미식문화를 세계로 확산시키는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삼양식품 창업의 역사적 의미가 깃든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열렸다. 창업주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1963년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때우던 사람들을 보고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다. 삼양식품은 브랜드의 출발점이었던 이곳에서 신제품을 선보이며 상징적인 의미를 더했다.
특히 이날은 1989년 11월 3일 '우지 사건' 발생 36년이 되는 날로, 삼양식품은 같은 날짜를 택해 신제품을 공개하며 브랜드 정통성 계승과 기술 혁신 의지를 동시에 드러냈다.
새롭게 선보인 '삼양1963'은 삼양식품의 첫 프리미엄 미식 라면으로, 과거 삼양라면의 핵심 재료였던 우지를 다시 활용해 면의 고소함과 국물의 깊은 맛을 강화했다. 삼양식품은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우지와 팜유를 황금 비율로 섞은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겼다. 이를 통해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높였으며, 조리 시 면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 육수와 어우러지도록 했다.
국물은 사골육수를 베이스로 무, 대파, 청양고추를 더해 깔끔하면서도 얼큰한 맛을 구현했다. 여기에 액상스프와 후첨분말, 큼직한 단배추·대파·홍고추 후레이크를 적용해 풍부한 식감과 깊은 풍미를 살렸다. 특히 후레이크는 동결건조공법과 후첨 방식을 병행해 재료 본연의 맛과 향이 오래 유지되도록 했다.
출시 발표회에서 36년 전 우지파동 보도를 소개하는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 김기용 기자채혜영 삼양부문장은 "팜유와 우지는 좋고 나쁨이 아니라 그냥 풍미가 다른 것이다. 깊고 진한 국물 맛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지가 제격이다"라면서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해 1위를 하고 싶고, 국물라면 시장에서도 선전하기 위해 출시한 제품이다. 어떤 제품과도 비교할 수 없는 완성된 맛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삼양라면은 지난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하는 등 큰 곤혹을 치렀다. 당시 정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이미 삼양식품의 이미지는 회사의 운명을 고민해야할 만큼 큰 손상을 입었다.
삼양식품은 우지 파동 이후 라면에 우지를 쓰지 않고 팜유만 사용해왔다.
김정수 부회장은 출시 소감을 묻는 취재진들의 질의에 "시아버지인 창업주 고 전중윤 명예회장이 가지고 있던 평생의 한을 조금이라도 풀어드리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가슴의 울림이 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