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내년 산불 또 비상…산불 관련 핵심장비 드론·헬기 도입 난항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드론 37억원, 헬기 159억 원 추경 불용 위기
송옥주 의원 "같은 피해가 발생되기 전에 핵심장비 확보에 만전 기해야"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국회의원. 송옥주 의원실 제공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국회의원. 송옥주 의원실 제공
산림청이 올해 3월 영남을 휩쓸었던 대형산불 발생 이후 산불 조기 진화를 위한 핵심장비인 드론과 헬기를 도입하려 했지만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경기 화성시갑)이 최근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예산 집행내역을 보면 국외임차 대형헬기 3대(159억 원), 중고도드론 1대(5.1억 원), 일반드론 12대(5억 원), 고성능드론 45대(27억 원) 등에 예산 196억1천만 원이 편성돼 있으나 아직 집행되지 않았다.
 
이들 대형 헬기와 드론 예산이 집행되지 않은 것은 △성능에 비해 낮은 단가 선정 △관련 주무부처인 국토부와 협력 미흡 △부실한 시장조사 및 입찰준비로 유찰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올해 도입 예정이던 국외임차 대형헬기 3대, 중고도드론 1대, 열화상카메라 탑재드론 12대, 고성능드론 45대 모두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선 지난 7월 추경예산 159억원을 확보해 고장난 러시아산 대형헬기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국외임차 대형헬기 3대 도입은 사실상 물건너 간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청은 8월과 10월 두차례 입찰을 실시했으나 응찰업체는 없었다. 사전에 준비했던 미국 빌링스는 입찰을 포기했다.
 
산림청은 대형헬기 3대를 중형헬기 5대로 바꿔 11월 중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2월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지만 한번 더 유찰되면 사실상 내년 봄 투입은 불가한 실정이다.
 
또 산림청은 지난해 고도 1km이상의 중고도드론 도입을 추진했지만 비행 임시공역설정 등을 위한 공군, 항공교통본부 등과 협의하느라 구매가 지연돼 예산 5억1700만 원을 이월해야 했다.
 
올 2월 3개 업체가 응찰했으나 기술평가 때 모두 탈락함에 따라 산림청은 추가로 입찰을 추진하고 있는데 성능대비 단가가 너무 낮아 사실상 도입이 불가능한 상태. 이렇게 되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예산 이월이 불가피하다.
 
산림청은 1차 추경예산 36억원을 투입해 드론차량 15대와 고성능 드론 45대(27억원) 도입을 추진했으나 입찰 참여 5개 업체 모두가 기술평가에서 탈락했다. 산림청은 재입찰에 나셨지만 적정한 드론을 도입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와함께 산림청은 야간 산불을 모니터링하고 산불진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2025년 본예산 5억 원을 들여 일반 드론 12대를 도입하려고 했다. 그러나 산림사업에 맞는 고해상도 드론 도입을 위한 시장조사 때문에 늦춰지면서 조달청 구매요청이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송옥주의원은 "산림청이 산불대응을 위해 야심차게 도입하려던 핵심 장비들이 올해 안에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핵심장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년 봄을 맞이한다면 같은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며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지만 마지막까지 헬기와 드론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