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10월 21일 밤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지역 각계각층 대표들과 함께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이재명 대통령의 지역 대표 공약이었던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이 무산되면서, 광주 지역사회는 깊은 분노에 휩싸였다. '배신', '뒤통수', '심판'이라는 거센 말들이 거리와 온라인 공간을 메우고 있다.
17만 명이 넘는 시민이 서명운동에 참여하며 염원을 보여줬지만, 돌아온 건 침묵이었다. 대통령의 약속이 무너지고, 민주당 지도부마저 침묵으로 일관하자 시민들은 허탈감과 불신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시민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른다던 대통령의 말을 믿었는데 돌아온 건 뒤통수였다"고 분노했다. "정치의 약속이 깨진 자리에는 민심의 심판만이 기다린다"는 말이 이제 현실이 되고 있다.
각계 대표 80여 명이 긴급히 모인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에서는 정부의 전략 부재와 기업 중심 결정에 대한 성토가 이어졌다. 지역경제계에서도 "정치가 기업 논리에 밀린 결과"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 사태는 단순한 정책 실패를 넘어, 민주당이 더는 광주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광주를 이용만 하고 발전은 외면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17만 명이 참여한 서명운동에도 약속은 지켜지지 않아 시민들의 분노는 충분히 이해할 만 하지만, 분노의 표출만으로는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다. 이제는 감정를 넘어 광주시가 전라남도와의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치가 외면한 약속의 자리를 메우는 것은 결국 행정의 몫이다. 이럴 때일수록 지방정부인 광주시가 중심을 잡고, 전남과 힘을 모아 상생의 물꼬를 다시 틀어야 한다.
광주시 안팎에서는 "분노한 시민들의 감정을 다스리는 것, 그것이 지금 행정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무너진 신뢰를 복원하는 일, 그 중심에는 감정을 다스리고 시민을 품는 행정의 역할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