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창업자 자오 창펑을 사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바이낸스와 트럼프 가문의 재정적 관계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사업이 금지됐던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창업자 자오를 사면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오 사면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보좌진에게 자오와 다른 사람들을 둘러싼 '정치적 박해' 주장에 공감한다는 뜻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은 "바이든 행정부의 가상화폐 전쟁으로 기소된 자오 씨를 트럼프 대통령이 헌법적 권한을 행사해 사면했다"며 "바이든 행정부의 가상화폐 전쟁은 끝났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든 정부 시절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2023년 6월 바이낸스와 자오를 상대로 13건의 증권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바이낸스가 고객 자금을 잘못 관리하고 투자자와 규제당국을 속여왔으며 증권 관련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였다.
미 법무부도 같은 해 11월 바이낸스와 자오를 기소했으며, 당시 자오는 유죄를 인정하면서 CEO에서 물러나고 벌금 43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당시 법무부는 "자오의 감독 하에 바이낸스가 실행한 불법 거래가 미국 국가 안보에 중대한 해를 끼쳤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사면으로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미국에 복귀할 길이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바이낸스는 지난 2023년 유죄 인정 후 미국 내 영업이 금지된 상태였다.
문제는 자오의 사면에 앞서 바이낸스와 트럼프 가문이 재정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WSJ는 "바이낸스는 지난해 9월 출소한 자오의 사면을 위해 로비스트 체스 맥도웰을 고용했고, 트럼프 당선 이후에는 트럼프 일가가 운영하는 가상화폐 회사 '월드 리버티'의 주요 후원자가 돼 트럼프 일가의 재산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보도했다.
특히 바이낸스는 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 MGX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는데, 이 투자는 전액 '월드 리버티'가 출시한 'USD1'이라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뤄졌다.
또한 바이낸스는 자기들이 관리하는 플랫폼 전반에서 'USD1' 거래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월드 리버티'는 수익의 75%를 트럼프 일가가 가져가는 구조로, 이 벤처는 지난해 트럼프 일가에게 그들의 부동산 포트폴리오가 매년 벌어들인 액수보다 훨씬 더 많은 수입을 가져다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자오 창펑은 자신의 사면과 관련해 X(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사면과 공정성, 혁신, 정의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지지해 주신 트럼프 대통령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미국을 가상화폐의 수도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