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등교 가설교통 안전 점검 현장에서 장철민 의원과 장종태 의원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고형석 기자지난해 7월 집중호우 당시 교각이 내려앉은 뒤 가설교량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유등교 중고 복공판 논란을 두고 대전시가 품질 시험 결과가 나오기 전 중고 복공판을 사용했다는 지적이 국토교통부 점검 과정에서 나왔다.
23일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에 따르면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점검에서 국토교통부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합동회의 결과 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을 확인했다.
시 건설관리본부가 "현재 사용 중인 경량 복공판이 하중 부담을 줄이고 예산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지만,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중고 자재를 사용하면서 규정상 반드시 해야 하는 품질검사를 생략하고 착공에 들어간 것을 확인했다고 장 의원은 강조했다.
국토교통부 산하 건설기술연구원 관계자가 "품질검사를 시공 이후에 진행하는 것은 건설기준상 위법이 맞다"고 답하며 시의 위법성을 명확히 인정했다고도 했다.
지난해 7월 집중호우 당시 침하 현상이 나타난 대전 유등교. 김정남 기자점검 현장에서는 향후 안전관리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국토안전관리원 관계자는 "복공판은 문제가 생기면 교체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유등교는 상부가 아스팔트로 포장돼 있어 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시공사는 "아스팔트를 뜯어내면 도로 안정성에 위해가 갈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장 의원은 "급하게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했다면 오히려 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신속했을 수도 있다"며 "중고품을 사용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을 만든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점검은 장 의원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민주당 의원이 요청한 데 따른 것으로, 장 의원과 장종태 의원이 참석해 현장을 살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