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시 제공한국전력공사의 초고압 송전선로 설치 계획에 대한 충북 제천지역의 반발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제천 시민들로 구성된 송전선로 반대 범시민 추진위원회는 23일 제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전이 추진 중인 345㎸급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 노선에서 제천을 제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용인 반도체단지 전력공급을 위한 사업 때문에 제천은 이익 없이 피해만 본다"며 "500개가 넘는 기존 송전선로와 송전탑으로 제천은 수십 년 째 고통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평창~원주 직선거리를 두고 제천으로 우회하려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지역 사회는 결사반대운동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대응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전과 전날 긴급 간담회를 가진 국민의힘 엄태영 국회의원(제천·단양)도 이날 성명을 통해 "한전은 관련 법규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했다고 주장하지만 애초부터 '선로 통과지'에 제천시를 일방적으로 포함시키고 절차는 끼워 맞춰 넣은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한전이 지금처럼 주민 동의 없이 송전선로 건설을 강행한다면 국회의원이 가진 모든 권한과 책임을 동원해 주민과 함께 맞서 싸우겠다"고 경고했다.
제천시의회는 같은 날 성명을 통해 "이 사업의 제천시 경유를 백지화할 때까지 시민과 연대해 끝까지 저지할 것"이라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전은 오는 29일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 입지선정위원회를 열고 제천지역 4개 읍면동, 16개 마을이 포함된 78km 구간의 노선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는 강원 강릉에서 생산한 전력을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공급하기 위한 사업으로, 직선거리에 있는 원주 비행장과 치악산국립공원을 피하기 위해 제천 우회를 결정했다는 게 한전 측의 설명이다.
앞서 김꽃임 충청북도의원은 지난 21일 429회 도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노선 재검토를 촉구했고, 김창규 제천시장도 전날 간부회의에서 사업 저지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