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프놈펜에 위치한 주캄보디아 대사관. 연합뉴스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서 22일(현지시간) 열린 현장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한국인 납치·감금 부실 대응에 강한 질책을 쏟아냈다. 의원들은 "이렇게 답답한 국정감사는 처음"이라고 꼬집었고, 대사관 측은 사태 대처의 미흡함을 시인하면서도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아주반 위원들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한국대사관에서 베트남대사관, 태국대사관, 라오스대사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올해에만 330건이 넘는 실종 신고가 접수됐지만, 그중 몇 건이 송환됐는지, 아직 파악되지 않은 사건이 얼마나 되는지도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2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 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주캄보디아·주베트남·주태국·주라오스대사관 국정감사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남석현 캄보디아 경찰 영사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주캄보디아 대사관 김현수 대사대리는 "2023년 신고는 20명에 못 미쳤으나 지난해에 220명, 올해는 8월까지 330명 등 폭증세"라며 "지난 2년간 신고된 550건 중 450건이 해결됐다"고 말했다. 신고 중 약 100건은 미해결 상태라는 뜻이다.
넉 달째 공석인 캄보디아 대사를 비롯한 고위급 대처의 부족함도 지적됐다. 국민의힘 김기웅 의원은 "사망한 대학생 시신이 국내로 들어오는 데 두 달 보름 정도가 걸렸다"며 "7월부터 9월까지 대통령이나 총리, 외교부 장관, 외교부 2차관들이 이쪽에 전화 통화라든가 해서 협조를 요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석기 외통위원장도 "이 중요한 사태가 터졌는데도 대사는 계속 공석"이라며 "4급인 대사 대리와 1급인 대사는 만날 수 있는 캄보디아 정부 관계자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2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 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주캄보디아·주베트남·주태국·주라오스대사관 국정감사에서 김석기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여당에서도 사태 초기 대응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은 "범죄 피해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경찰 인력 파견, 고위 인사 파견 등 특별한 대응이 없었다"며 "지난해 220여명의 우리 국민이 실종, 납치, 감금됐다면 그때부터 벌써 나라가 들썩들썩 했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국정공백이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같은 당 윤후덕 의원은 "올해 1월부터 매달 30건 이상, 많을 때는 70~80건이 신고됐는데 지금의 직원들로는 대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하고 정치권은 싸움질하고 대통령도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 7월부터 공석인 대사직을 대신하고 있는 김 대사대리는 "저희가 부족했다"고 사과하면서도 업무 부담에 따른 인력 증원을 호소했다.
2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 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주캄보디아·주베트남·주태국·주라오스대사관 국정감사에서 김현수 주캄보디아 대사 대리가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그는 "온라인 스캠 관련 업무로 공관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3교대 근무가 가능하도록 경찰영사 6명, 한국인 행정 직원 4명, 현지 행정 직원 2명 수준으로 증원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현지 교민 피해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김 대사대리는 "최근 온라인 스캠 등 현지 치안에 대해 국내 언론 보도로 캄보디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확산했다"며 "동포사회는 한국으로부터의 투자 축소와 방문객 감소에 따른 경제 활동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