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제공조국혁신당 광주광역시당은 21일 국가AI컴퓨팅센터 3차 공모와 관련해 "국가는 디지털 주권을 안정적으로 지킬 수 있는 도시를 선택해야 하며, 그 최적지는 광주"라고 밝혔다.
광주시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재명 정부가 'AI 3강 대한민국'을 선언하고, 지난 8월 국무회의에서 AI 2단계 'AX 실증밸리' 예타 면제를 확정한 만큼, 국가AI컴퓨팅센터는 단순한 기술 사업이 아닌 국가 디지털 주권의 핵심 기반"이라며 "이 거점은 공공성과 생태계가 확립된 도시에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가AI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실증된 경험을 축적해왔다"며 "GIST·켄텍·전남대 등 연구 인프라, AX 실증밸리로 이어지는 산업생태계, AI도시 정책을 통해 확보한 역량은 광주가 명실상부한 공공 AI 거점 도시임을 입증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시당은 특히 "국가AI컴퓨팅센터는 대통령 공약이자 국정과제에 명시된 약속"이라며 "공공 인프라는 기업의 이해득실이 아니라 국가 철학과 책임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전남은 이미 오픈AI·SK 데이터센터 논의 등 민간 중심의 투자 모멘텀이 형성돼 있다"며 "공공 인프라는 광주, 민간 AI 산업은 전남이라는 투트랙 전략이 상생과 상승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시당은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호남에서 RE100 기반의 AI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환경과 기술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혁신의 표준이 될 것"이라며 "이것이 호남 공동체를 대한민국 AI 심장지대로 이끌 전략적 해법"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정부는 지금 호남의 미래를 결정할 중대한 선택 앞에 서 있다"며 "국가AI컴퓨팅센터를 광주로 확정하고, 전남과 연계한 초광역 AI 전략을 즉각 수립해야 한다. 진정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과감한 결단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