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판교를 목표로 조성 중인 해운대구 '센텀2지구' 사업 구간. 부산도시공사 제공부산시와 부산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센텀2지구 도시 첨단 산업 단지 개발 사업이 부지 확보 문제로 기존 계획보다 길어지면서 사업비 증액 등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기에 풍산 이전 예정 지역 주민 반발 역시 이어지는 등 여전히 넘어야 할 관문이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CBS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시와 시행사인 부산도시공사는 센텀2지구 도시 첨단 산업 단지 개발 사업 완료 시점을 2032년으로 잡고 있다. 애초 2027년이면 사업을 끝낼 수 있을 것으로 봤지만, 개발 지역 내 방산 업체인 '풍산' 이전 문제로 5년 넘게 표류하면서 사업 기간이 5년가량 길어졌다.
센텀2지구 재개발은 해운대구 반여동과 반송동, 석대동 일대에 191만 ㎡ 넓이의 첨단 산업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현재 1단계 공사를 시작했다. 풍산 이전 부지가 포함된 사업은 2단계 공사 구간으로, 전체 면적이 131만 ㎡에 달해 사실상 재개발 사업의 핵심 공사다.
부산도시공사. 송호재 기자최근 부산시와 풍산이 기장군 장안읍 일대에 이전을 확정하고 투자의향서를 제출하면서 사업은 다시 추진되고 있지만, 문제는 그사이 급등한 물가와 땅값 등으로 사업비 증액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센텀2지구 재개발 사업의 전체 사업비는 2조 400억 원으로, 이 가운데 풍산 이전에 드는 돈은 전체의 40%인 달하는 8400억 원에 달한다. 하지만 이는 2027년 완공을 시점으로 한 사업 계획으로, 실제 필요한 이전비용은 1조 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아직 정확한 풍산 이전 시점 등은 정해지지 않아, 실제 사업 완료 시점은 2032년보다 더 늦어질 수도 있다. 사업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높아지면 산업 단지의 경쟁력 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만큼, 풍산 이전 시점이 사업 성패를 가르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부산도시공사 관계자는 "정확한 이전 비용은 계획을 확정한 뒤 계산할 수 있지만, 현재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할 때 실제 필요한 보상비가 기존 계획보다 더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다만 보상비가 늘어날 경우 타당성 재검토 등 별도의 절차가 필요 없어 행정 절차에 필요한 시간은 더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하루빨리 계획을 세우고 (풍산) 이전을 시작하는 것"이라며 "현재 업체 측과 계속 협의하는 등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청. 부산시 제공
여기에 풍산 이전이 확정된 기장지역 일부 주민들이 여전히 부산시의 '일방적인 행정'을 성토하며 반발하고 있어 주민 설득 절차도 필요한 상황이다.
기장군의회 황운철 의원은 "주민들은 여전히 풍산 이전에 반대하고 있지만, 부산시는 사업을 계속 밀어붙이고 있다"며 "이전 부지 주변 마을을 수용하는 문제를 두고 '보상' 관련 논의가 오간다고 표현된 것뿐, 공식적인 설명이나 소통 과정은 없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는 물가 상승에 따라 불가피한 비용 증액이 있었지만 사업성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주민 반발 역시 일부에 불과하고, 지금도 계속 보상 문제를 두고 대화 중이라고 전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재개발 사업은 설계를 앞둔 단계로 현재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사업비가 일부 증가할 수는 있지만, 이는 물가상승률 등이 반영되면서 어쩔 수 없는 증액이고, 사업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며 "풍산 이전 지역 주민들과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 반발하는 주민은 극히 일부"라고 반박했다.